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1.01.27 [00:27]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사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일다 사무실에서 보내는 새해인사
박희정
|
기사입력 2004/01/05 [02:48]
사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일다 사무실에서 보내는 새해인사
박희정
|
입력 : 2004/01/05 [02:48]
<저작권자 ⓒ 일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희정
의 다른기사보기
댓글
전체댓글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작성 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주세요.
닉네임
비밀번호
도배방지 입력
Y.J.S
2004/01/07 [18:13]
수정
|
삭제
이틀에 한 번 꼴로는 일다를 방문하는 독자입니다.
만화로 새해인사가 올라와있네요. 감샤~ ^^
일다라는 매체가 생겨서 얼마나 기쁘고 반가운지 몰라요.
올 한 해도 일다가 많이 흥하기를 바래요.
저도 꾸준히 애독자가 되겠습니다.
그녀에게
2004/01/05 [23:21]
수정
|
삭제
그 여자들의 힘있는 물결이 느껴지네요.
일다도 물질적인 난관을 이겨내시고, 새해도 멋지게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일다를 아끼는 독자들이 많으니까 잘 될 거여요!
새해 복(주머니?) 많이 받으세요.
남방
2004/01/05 [09:59]
수정
|
삭제
일다 공동체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큭, 저도 일다 다이어리 꼭 구입할 꺼랍니다.
(이것만 쓰고 은행에 돈을 넣으러 갈 것이라는.. ^^;)
한 해 동안 일다가 있어 제가 미처 알 수 없고,
알지 못한 부분들을 섬세하게 자극받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언제나 꿋꿋하게 일하시는 모습들이
얼마나 힘이 되던지요...
일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좀 더 노력하겠습니다. ㅋㅋ
예. 언제나 건강하세요.
복만이
2004/01/05 [09:27]
수정
|
삭제
웃음이 절로 나오는 만화군요. 2003년 한 해 수고가 많으셨습니다. 일다 사무실에도 복 많이 깃들기를 바랍니다. ^^
지영
2004/01/05 [03:00]
수정
|
삭제
일다 다이어리도 구입할게요~ ^.^
일다
관련기사목록
"일다의 친구를 찾습니다"
"500명의 일다의 친구를 찾습니다!"
가진 것 없는 사람들의 힘
우리 사회에 ‘여성주의’ 물결 흐르길
소수자들의 목소리가 더욱 중요한 시대
올곧은 친구 일다
‘연한 것은 강한 것보다 깊다’
[저널리즘, 새로운 지평]
한일 여성주의 언론의 만남
[일다 2년 나기]
[카툰] 일다 2주년 축하합니다
[독자에게서 온 편지]
[고백]
[일다 식으로 취재해주세요]
더 넓은 곳에 ‘일다의 시선’ 미치길
[카툰] 일다 1주년을 맞아
창간사
많이 본 기사
1
코로나 시대,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
2
‘낙태죄’ 사라진 한국,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
3
‘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
4
남학생은 ‘자위’, 여학생은 ‘월경’에 대해 묻는다
5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재난경보 문자’들
6
‘관심군’ 선별…학교는 우리가 어떤 ‘몸’이길 바라는가
7
“여성살해를 멈춰라”…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
8
노동자의 ‘다른 이미지’, ‘새로운 서사’를 쓴다는 것
9
코로나 시대야말로 “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
10
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
사회
많이 본 기사
1
남학생은 ‘자위’, 여학생은 ‘월경’에 대해 묻는다
2
‘낙태죄’ 사라진 한국,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
3
“우린 더 이상 우리가 영웅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4
‘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
5
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
최신기사
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재난경보 문자’들
‘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
‘낙태죄’ 사라진 한국,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
Listening to Women’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