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5.01.20 [19:41]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사회
[아직 상처가 아물지 않았는데]
2004년 대한민국
박희정
|
기사입력 2004/05/17 [03:03]
사회
[아직 상처가 아물지 않았는데]
2004년 대한민국
박희정
|
입력 : 2004/05/17 [03:03]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일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희정
의 다른기사보기
댓글
전체댓글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작성 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주세요.
닉네임
비밀번호
도배방지 입력
cool
2004/05/17 [18:48]
수정
|
삭제
다음 시대에 우리나라엔 독립투사가 존재할것인가??
만약 중국이 우리나라는 식민통치한다면, 아마도 독립투사 하나 없을것이다.
죽어라 고생하고, 자손대대로 고생하는 독립투사 뭐땜에 한단 말인가.
그냥 친중파해먹고, 교육잘받고, 돈 모아서, 나중에 독립한 대통령해먹거나, 존경받는 시인해먹으면서, 국립묘지에 안장되면 돼지.
나중에 독재가 또 온다면 적극 참여해야겠따..
독재에 적극 참가해서, 엄청 챙긴다음, 민주화되어도 뒤에 빼돌린 돈을 누가 찾아낼것인가.
우리나라는그런식인가보다.
검은콩
2004/05/17 [13:20]
수정
|
삭제
저기 뒷짐지고 서 있는 남자 둘을 생각하니 정말 슬퍼지려 한다.
아침
2004/05/17 [11:36]
수정
|
삭제
5.18은 물 건너가버린 것 같다..
상처는 치유되지 않았는데 잊으라고 하는 것 같은...
국회의원들 잠깐 인사하는 이벤트 정도로..
좋은 그림.
현대사
관련기사목록
韓日 젊은 여성들이 말하는 ‘역사와 화해’
나에게 ‘역사’는 무엇이란 말이냐
‘빨치산 어머니’의 딸로 다시 살다
“한번도 그때 얘기를 꺼내지 못했어”
권위주의, 과연 얼마나 변화했나
자유가 없던 시절에 대한 향수?
일상에 스며든 ‘반공주의’ 위력
군사독재와 대중문화 사이에서
전쟁과 지배의 역사,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
‘과거’가 아니라 ‘역사’가 돼야
반공교육을 기억하십니까?
박정희는 살아있다
많이 본 기사
1
어떻게 하면 잘 아프고, 잘 쉬고, 또 일할 수 있을까?
2
도쿄고등법원 ‘동성혼 인정’ 5가지 핵심 근거
3
가난한 나라 여성 노동력을 ‘가정에 투입’하는 국가
4
전쟁에서 일어난 일을 어떻게 기록하고 애도할 것인가?
5
‘한국 시민사회와 연결되고 싶어’ 찾아온 일본 청년여성들
6
‘안부만 나눠도 힘이 돼’ HIV/AIDS 감염인의 서로돌봄
7
암 진단받았을 때만 해도 직장을 잃을 줄 몰랐다
8
우리가 함께 만든 광장, 배제하지 않고 연결되어
9
당사자 자조모임과 ‘동료’가 왜 중요하냐고요?
10
해일 앞에서, 우리는 용감한 우정을 나눌 것이다
사회
많이 본 기사
1
‘안부만 나눠도 힘이 돼’ HIV/AIDS 감염인의 서로돌봄
2
‘한국 시민사회와 연결되고 싶어’ 찾아온 일본 청년여성들
3
전쟁에서 일어난 일을 어떻게 기록하고 애도할 것인가?
4
우리가 함께 만든 광장, 배제하지 않고 연결되어
5
‘남태령 대첩’ 이후, 여성과 소수자가 열어갈 세상
최신기사
작가의 ‘시간’, 구석진 ‘공간’, 노동자의 ‘얼굴’
‘안부만 나눠도 힘이 돼’ HIV/AIDS 감염인의 서로돌봄
‘한국 시민사회와 연결되고 싶어’ 찾아온 일본 청년여성들
가난한 나라 여성 노동력을 ‘가정에 투입’하는 국가
Couldn’t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be expanded to include care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