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3.09.26 [11:42]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사회
[새해 복 많이 받으시겠습니까?]
양극화의 그늘을 돌아봐야
박희정
|
기사입력 2008/01/01 [02:59]
사회
[새해 복 많이 받으시겠습니까?]
양극화의 그늘을 돌아봐야
박희정
|
입력 : 2008/01/01 [02:59]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일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희정
의 다른기사보기
댓글
전체댓글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작성 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주세요.
닉네임
비밀번호
도배방지 입력
사회보장
관련기사목록
‘가족’ 중심의 복지는 평등하지 않다
진정한 카네이션은 “생활연금”입니다
장기실업과 빈곤의 현실적 대안 ‘기본소득’
정보를 아는 자만이 혜택받는 복지정책?
‘낙인’과 ‘혜택’의 딜레마에 선 사람들
어떤 상황 처해도 ‘인간답게 살수 있도록’
빈곤은 남의 일? 누구나 처할 수 있어
‘부양의무자 기준’, 빈곤은 가족 책임?
[청와대의 크리스마스는]
[추위닥친 서민들, 대책 기대했더니]
[돈 잔치 vs. 빚 잔치]
[50억 vs. 2억]
여유가 없는 삶, 불안한 여성들
[비정규직이 된다는 건]
‘성장’과 ‘일자리 창출’이 능사 아니다
[건강도 돈으로?]
[취약계층이 졸속행정 뒷감당하나]
복지제도 ‘남성생계부양자’ 모델 깨야
왜 ‘1인 1연금’인가
많이 본 기사
1
“방광염은 직업병” 일터 화장실을 조명하라
2
생활동반자법은 누구를 대변하는가?
3
성소수자, ‘나이듦’을 이야기하다
4
여성들의 ‘번아웃’
5
여성 홈리스는 왜 안 보일까요?
6
우리가 화장실 이야기를 더 많이 해야 하는 이유
7
한국보다 앞서 강간죄 개정한 일본…‘비동의 성교죄’ 들여다보기
8
결국 ‘강간죄’는 피해자에게 죄의 책임을 묻는가?
9
환대가 있는 장소, 빛바래지 않는 여행의 기억
10
세상에는 ‘인터섹스’인 사람들이 있다는 것, 상식이 되길
사회
많이 본 기사
1
생활동반자법은 누구를 대변하는가?
2
결국 ‘강간죄’는 피해자에게 죄의 책임을 묻는가?
3
“여성이 (⏤ ⏤ ⏤ ⏤) 만든다”
4
나는 아직 그날 일어났던 일의 이름을 모른다
최신기사
“尹정부 고용평등 포기선언” 민간 고용평등상담실 폐지에 분노
우리가 화장실 이야기를 더 많이 해야 하는 이유
환대가 있는 장소, 빛바래지 않는 여행의 기억
“방광염은 직업병” 일터 화장실을 조명하라
한국보다 앞서 강간죄 개정한 일본…‘비동의 성교죄’ 들여다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