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 독자의견

기사본문으로 돌아가기

  • 독자 2007/04/27 [20:04]

    수정 삭제

    잘 읽었어요
    마지막 문단에 공감합니다. 스스로 운명을 결정하는 자유는 과연 얼마나 어떻게 신장되었을까요..
  • 좀허무 2007/04/28 [03:04]

    수정 삭제

    다 읽고 나니
    스포일러가 있다고 밝혀 주시면 더 좋았을 것을,
    자살이라니 에궁
  • 모데라토 2007/04/28 [18:04]

    수정 삭제

    타인의삶

    좋은 영화였습니다. 많은 걸 생각하게 해주더군요.

    분단체제와 사회적 감시시스템의 희생자,
    영화에 나오는 많은 사람들이 희생자이지만,
    그 중에서도 크리스타의 희생은 달랐죠.

    자살한 알버트와 크리스타의 희생은
    같은 죽음이지만 또 달랐고..

    여성예술가, 또는 여성 그 자체..
    여성이 감당해야 하는 희생은 다르다는 것이..
    마음이 아프더군요.

    그래서 여성이 희생자가 되기는 쉬운 것 같아요.
    이미지 상으로도 말이에요.
  • 칸타빌레 2007/04/28 [23:04]

    수정 삭제

    천년학
    도 볼만한가요? 내리기 전에 봐야겠네요.
  • 글쓴이 2007/04/30 [01:04]

    수정 삭제

    이 영화들
    <타인의 삶>을 독일에서 본 유학생 친구들이 전하기를, 극장 안 관객 모두 감정적 일체가 되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특별한 분위기였다고 합니다. 어느 영화잡지 기사를 보니 비밀경찰 역을 한 배우가 실제 동독 시절 다른 사람도 아닌 아내로부터 감시당한 경험이 있다고 하네요.

    <천년학>은 공들여 찍은 풍경들과 소리가락이 진짜 주인공처럼 영화 곳곳에 등장합니다. 송화가 춘향가를 부르는 장면, 꽃잎이 흩날리는 전남 광양의 매화마을, 제주도 한라산 갈대숲 등은 오래 잊지 못할 것 같아요. 아, 그리고 주인공 송화가 제주도 4.3 민중항쟁 때 친부모를 잃은 것으로 나와요.
  • 리튬 2007/05/01 [19:05]

    수정 삭제

    타인의삶에서..
    수호천사였던 바로 그 비밀경찰로부터 심문을 받던 중 반체제적인 글을 쓴 연인을 밀고하게 된다 - 그 여자가 갑자기 입장 바꿔 쉽게 밀고한 이유는 비밀경찰과 구면인 사이라 하는 의견이 있습니다. 즉 영화상에서 심문하려는 비밀경찰이, 감시자가 눈치 못채게 그 여자에게 안심하라는 신호(눈짓)를 보냅니다. 저도 그 장면은 놓쳤지만 영화게시판에 그렇게 써있네요..
  • hani 2007/05/01 [20:05]

    수정 삭제

    타인의 삶 얘기
    영화게시판에 써있다는 의견을 보고 저도 제 생각을.. ^^
    제가 영화를 봤을 때는 여주인공이 마음을 바꿔 밀고하게 되는 건, 안심해서가 아니라 수호천사같았던 사람이 비밀경찰이고 자신에 대해 모든 것을 다 안다는 것에 더 이상 의지를 상실해서였다고 봤어요.
    안심하라는 눈짓을 보고 밀고했다고 하기엔, 그 이후 상황들부터 설명이 안 되는 것 같아요. 집에 도착해서부터 극도로 공포스러워하던 모습부터 자살(자살이죠)에 이르기까지.
  • film1214 2007/07/13 [22:07]

    수정 삭제

    그녀의 자살은..
    텍스트 밖으로 나오자면 감독에 의한 타살이라고 보는데요, 결과적으로 자신의 연인을 배신한 여성이 처벌 받게 되는 것은 오래된 관습이죠. 특히나 "무섭다"라는 그녀의 마지막 말은 자신의 배신으로 상대가 비밀경찰에 걸린 순간 감당할 수 없는 배신의 참혹함(따라서 처벌되어야하는) 을 더욱 극명하게 드러내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또한 시대적 아픔이 고스란히 그녀의 희생으로 더욱 그 비극이 절정에 이르는.. 전통적인 방식과 맞물려 참 익숙한 불편함이었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