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3.12.02 [10:19]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부산 갈 테니 기다려,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
“사람은 시간이나 마음의 여유가 있으면 누구나 친절할 수 있을 거야.” 도쿄 근교에서 직장 생활하다가 오노미치로 이주한 도이의 경험에서 우러나 ...
이내
| 2023.12.02 10:08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이 기자회견에서 메르켈은 2015년 세계 언론을 장식하게 될 문장을 이야기한다. “독일은 강한 국가입니다. 우리는 많은 것을 해냈습니다. 그리고 해낼 ...
김인건
| 2023.11.30 16:01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나치 때 박해를 받았던 독일인들이 다른 나라에서 보장된 망명의 권리 덕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것이 근거가 되어, 망명의 권리는 단서 조항 없이 기 ...
김인건
| 2023.11.29 11:54
The Victim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Raised Her Banner: “I Didn’t Back Down”
Her name is Kim Wonkyeong. As her attorney and her co-defendant, I was exhausted and often in pain—but, in the end, happy. ...
Lee Eunui
| 2023.11.28 18:22
생계와 가치,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말하는 활동가인 한편, 사람들에게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상품을 팔아야 하는 보험설계사. ...
현
| 2023.11.27 20:39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
“젊어 보이고 싶다”, “이제 나이 먹어 힘들어”, “그 나이에 대단하시네요!” 등, 누구든 생각하거나 말한 경험이 있지 않을까? ...
구리하라 준코
| 2023.11.25 22:12
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
간결한 그림과 아기자기한 리듬감이 넘치는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초록빛 아이의 눈동자에 붉은빛 아이가 가득 담겨 있는 페이지이다. ...
안지혜
| 2023.11.24 11:54
“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 독일판 깻잎 투쟁기
계절노동자 중 일부는 “우리는 노예처럼 일했다.”, “그들은 우리의 여권을 빼앗고, 일을 제대로 안 한다고 총과 칼로 위협을 하기도 했다.”, “다시 ...
손어진
| 2023.11.22 10:48
My Shrinking, Unfamiliar Self in the Workplace
It wasn’t just my face and voice I tried to control. When I was doing alba, I suffered from bad eczema, which was visible on my arms. ...
Hong Sun-yeong
| 2023.11.21 13:32
“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 서로에게 친절해져요”
대학교에서 미술모델 겸 누드모델로 일해요. 가끔 일주일에 한 번씩 스탠드업 코미디 오픈 마이크에 가서, 별로 안 웃긴 농담을 하고 있어요. ...
한솔
| 2023.11.20 18:09
1
2
3
4
5
6
7
8
9
10
892
많이 본 기사
1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2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3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
4
생계와 가치,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
5
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
6
“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 독일판 깻잎 투쟁기
7
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 ‘쓸모 없어 빛나는’ 세계
8
“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 서로에게 친절해져요”
9
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 그런데 ‘제한’이 많다고?
10
‘너 뭘 하고 싶어?’ 저 자신한테 계속 묻는 것 같아요
최신기사
“부산 갈 테니 기다려,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The Victim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Raised Her Banner: “I Didn’t Back Down”
생계와 가치,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