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3.12.09 [17:24]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가족/관계
생활동반자법에도 담기지 못한 가족이 있습니다
“이주노동자들이 외로워할 수 있고, 연애를 하고 결혼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을 아예 하지 않는 거다. 이들이 가족을 구성할 수 있다는 상상 자체를 하지 ...
박주연
| 2023.10.04 09:44
생활동반자법은 누구를 대변하는가?
생활동반자등록은 이성/동성 혼인을 위한 사전 준비도 아니고, 동성혼을 허용하지 않기 위해서 동성파트너들에게 차별적으로 주어지는 혜택이 되어서 ...
나영정
| 2023.09.20 10:46
결혼은 너무 ‘문제적’인 제도라서…
국가는 행정을 통해 “사랑하는 남녀가 결혼해서 그 사랑의 결실로 얻은 자녀를 사랑으로 양육한다”는 새로운 가족 정상성을 산업화 과정에서 만들어 ...
나기
| 2023.07.21 12:41
‘가족’ 없어도 고립되지 않고 존엄하게 살 수 있는 사회
법적으로 관계를 등록하지 않아도 ‘실질적’으로 함께 의지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삶의 동반자나 보호자로 인정하는 ‘연대인 제도’를 확장하는 ...
김순남
| 2023.07.12 10:36
가족끼리 알아서 생존하라고 하는 사회가 진짜 ‘위기’다
가족주의에 기반을 둔 사회의 결과는 현재 어떠한가? 노인빈곤율 OECD 국가 중 1위, OECD 평균 자살율보다 2배 이상 자살율 높은 나라, 저출생 세계 1위다. ...
김순남
| 2023.07.05 20:37
동성혼도, 생활동반자 관계도 가능한 사회가 될 거예요
‘동성 간 결혼이 안 되던 시기가 있었다고?’라고 생각할 시대가 올 거에요. 굉장히 가까운 미래에 그렇게 될 거라고 생각하고요. ...
박주연
| 2023.06.14 20:48
‘혼인’의 자유와 권리, 성별 상관없이 ‘평등’하게
혼인평등법은 민법 812조 ‘혼인의 성립’과 민법 767조 ‘친족의 정의’를 개정함으로써 모든 이가 결혼의 자유와 권리를 평등하게 가질 수 있도록 하였 ...
박주연
| 2023.06.13 17:03
가족을 구성할 권리에 차별을 두지 마세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함께 살지도 않았고, 최소한의 교류조차 없어 어디에서 어떻게 지내는지 알지 못하는 혈연관계인 이들이 유일한 내 가족일까요? ...
차연우
| 2023.06.01 14:59
결혼도 혼자도 아닌…생활동반자법 제정되면 뭐가 달라질까?
“누구든 함께 돌보고 생활하고 부양하고 있다면 돌봄이나 노동, 복지, 장례 등 생애 전 과정에서 가족으로서의 권리를 인정하고 보장할 수 있도록 법안 ...
박주연
| 2023.05.18 10:53
가족은 다양하다고, 학교는 가르쳐주어야 한다
학생들은 가족 관계에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고, 가족을 사랑하지 못하는 상황 속에 있을 수도 있고, 가족이 ‘남’보다 못하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고, ...
귀리
| 2023.04.17 10:25
1
2
3
4
5
6
7
8
9
10
25
많이 본 기사
1
어떻게 전세사기 피해에서 탈출했냐고요?
2
“나는 나의 선배입니다” 외롭지 않은 노동환경을…
3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4
소멸과 필멸, 그리고 불멸
5
청년 여성의 ‘고립’을 구성하는 요소들
6
“부산 갈 테니 기다려,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
7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8
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 ‘쓸모 없어 빛나는’ 세계
9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
10
생계와 가치,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
사회
많이 본 기사
1
어떻게 전세사기 피해에서 탈출했냐고요?
최신기사
우리는 그녀의 노트를 태우지 않기로 했다
청년 여성의 ‘고립’을 구성하는 요소들
What Is the Future of Marriage?
어떻게 전세사기 피해에서 탈출했냐고요?
“나는 나의 선배입니다” 외롭지 않은 노동환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