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3.12.09 [17:24]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의료/과학
갱년기 증후군 원인에는 ‘젠더 편향’ 사회도 큰 몫
사회의 젠더 편향이야말로 심신의 부조화로 이어지는 문제의 근원이라는 관점에서 진료하는 산부인과 의사는 많지 않다 ...
이토 하루나
| 2023.06.18 12:25
‘회복’은 체중계로 잴 수 없는 것
회복의 정의를 확장한다는 건 ‘파편적 회복에 만족한다’는 게 절대 아니라, 그 반대지요. ...
박지니
| 2023.04.12 11:08
‘섭식장애’ 우리의 문제라는 생각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섭식장애 당사자-연구자로서, 김윤아 씨가 우리 사회에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이것이다. “우리 주변에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다는 걸 알았 ...
박지니
| 2023.02.23 10:54
‘재생산 권리’와 다양성을 포용하는 색다른 병원
진짜 의료서비스다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어요. 제도적으로 아직 뒷받침이 안 되는 부분이 있더라도, 이런 곳 하나쯤 있다는 걸 알려야죠. ...
박주연
| 2023.02.21 19:19
‘엄마’의 우울증과 모성 이데올로기
이러고도 내가 과연 좋은 엄마가 될 수 있을지를 묻는 사람들의 글에는 본인이 이미 좋은 엄마가 되기에 실패했다는 절망이 있었다. ...
김보영
| 2022.07.26 21:35
임플라논으로 월경을 멈추고 난 뒤
임플라논은 피임 성공률 99%가 넘는 피임도구 중 하나다. 그런데 누구나 피임을 목적으로 임플라논 시술을 받진 않는다. 내 가장 큰 목적은 월경을 멈추 ...
김보영
| 2022.06.27 16:29
AI와 페미니즘, 우리에겐 더 나은 선택지가 있다!
인공지능이 사람과 대결을 해서 이겼다는 기사가 나온다. 다른 기사는 청취 평가에 참여한 사람들 다수가 기계음과 사람 음성을 구분하지 못했다고 서 ...
강현주
| 2022.05.13 19:04
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
나는 올 2월 졸업을 앞둔 간호학과 학생이다. 깊은 고민을 사유할 틈 없이 시작된 2020학년도 1학기는 그야말로 코로나 전쟁으로부터 직격탄을 맞았다. ...
형광돌이
| 2021.01.12 19:25
“우린 더 이상 우리가 영웅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팬데믹 상황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등 보건의료진의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가운데, 미국에선 이 발의되었다. ...
박주연
| 2021.01.10 12:06
‘산전 검사’를 페미니스트 관점으로 이야기하다
문제는 검사를 통해 태아의 질병과 장애 존재를 알게 돼도 치료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염색체의 질병이 발견되면 낳을지 말지를 선택하 ...
쓰게 아즈미
| 2020.12.20 16:05
1
2
3
4
5
6
7
8
9
10
16
많이 본 기사
1
어떻게 전세사기 피해에서 탈출했냐고요?
2
“나는 나의 선배입니다” 외롭지 않은 노동환경을…
3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4
소멸과 필멸, 그리고 불멸
5
청년 여성의 ‘고립’을 구성하는 요소들
6
“부산 갈 테니 기다려,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
7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8
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 ‘쓸모 없어 빛나는’ 세계
9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
10
생계와 가치,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
사회
많이 본 기사
1
어떻게 전세사기 피해에서 탈출했냐고요?
최신기사
우리는 그녀의 노트를 태우지 않기로 했다
청년 여성의 ‘고립’을 구성하는 요소들
What Is the Future of Marriage?
어떻게 전세사기 피해에서 탈출했냐고요?
“나는 나의 선배입니다” 외롭지 않은 노동환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