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3.01.29 [19:54]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녹색정치
기후위기 해법 “우리가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것”
“최근에는 귀농한 사람들 중에서 소규모로 농사짓는 분들이 많이 가입해요. 다른 판로를 찾기 어려운데, 여기서 팔 수 있으니까요.” ...
나랑
| 2023.01.05 18:58
스마트한 농업은 누구에게 이윤을 가져다 주나요?
“한 마을에 500억만큼 스마트팜 지을 땅이 있냐고 물으니까 ‘이제 농민들 힘들게 농사짓지 말고 땅을 내놓으면 되지요’, ‘땅 내놓고 주주로 살면 되 ...
나랑
| 2023.01.05 18:25
원전 사고는 자연재해 아닌 ‘인재’…경영진이 책임져야
“피고 가츠마타…”라는 판결 주문의 첫머리가 들린 순간, 내가 메모하던 손가락에 힘이 들어갔다. “이겼다.” ...
오가와 사치코
| 2022.12.28 13:50
후쿠시마 원전사고, 도쿄전력 주주대표 소송 ‘역사적 판결’
도쿄지방법원은 피고 중 4인에게 13조 엔(한화 약 124조 원)을 도쿄전력에 지급하도록 명하는 획기적인 판결을 내렸다. ...
기무라 유이
| 2022.12.27 17:57
상추, 호박, 콩…도시민들도 화분에 길러 먹어보세요
마을마다, 지역마다 최소 100명의 사람이 생태적, 자립적, 공동체적인 텃밭을 일군다면 기후위기를 넘어설 수 있다고 생각해요. ...
나랑
| 2022.12.11 11:58
‘가난한 사람이 보이지 않는 도시’가 개발의 미래인가?
한 학생이 질문하더라고요. “근데 가난한 사람이 왜 꼭 도심에 살아야 하냐. 외곽에 나가면 되지 않냐”고요. ...
박주연
| 2022.12.05 14:59
‘종 다양성의 힘’ 기후위기 시대 토종씨앗 지켜야
경희 씨는 “토종이라고 무조건 잘 살아남는다고 할 순 없지만, 40가지를 심었을 때 (기후위기에 따른 기상이변이 와도) 20가지는 수확을 할 수 있을 것” ...
나랑
| 2022.11.27 10:12
“겨울에 기온이 왔다 갔다…사과나무가 죽는 거예요”
"따뜻하면 사과나무가 봄인 줄 알고 활동을 시작해서 물을 확 올리는데 갑자기 추워지면 그게 얼어요. 얼어서 터져요. 균이 들어가거나 병이 오면 나 ...
나랑
| 2022.11.25 15:55
쓰레기로 만난 사이
나는 에코 페미니스트다. 그래서 기후위기 문제에 바로 반응하고 행동할 수 있었다. 기후위기는 이제 재난을 넘어서 사회적 정의의 영역으로 넘어왔다 ...
이혜림(솜씨)
| 2022.10.15 08:52
기후재난도 불평등하다, 아동부터 노인까지 ‘기후정의!’
“화석연료와 생명파괴 체제를 종식하고”, “모든 불평등을 끝장내고”, 기후위기를 야기한 자본가, 대기업이 아닌 “기후위기 최일선 당사자의 목소 ...
박주연
| 2022.09.27 13:33
1
2
3
4
5
6
7
8
9
10
58
많이 본 기사
1
위로금 준다는데 콜센터 상담원이 왜 안 나가고 버티냐고?
2
‘콜센터 그언니’ 잊지 못할 일 년이었다
3
섭식장애 가진 사람과 식사를 함께한 적 있나요?
4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함께’ 연극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
5
‘성평등한 대학’이라는 환상 속에 은폐되는 성폭력
6
연극으로 만난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어수선한’ 연결
7
우리가 왜 부부가 아니란 말입니까?
8
‘진달래꽃’의 화자는 정말 여성일까?
9
아직도 자주 몸무게를 잰다
10
팬데믹 속에서 ‘사회적 가족’ 인정 필요성 커졌다
녹색정치
많이 본 기사
1
기후위기 해법 “우리가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것”
2
스마트한 농업은 누구에게 이윤을 가져다 주나요?
최신기사
같이 살고 돌보는데, 우리가 남남이라고?
‘성평등한 대학’이라는 환상 속에 은폐되는 성폭력
우리가 왜 부부가 아니란 말입니까?
‘콜센터 그언니’ 잊지 못할 일 년이었다
섭식장애 가진 사람과 식사를 함께한 적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