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3.12.09 [17:24]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이주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이 기자회견에서 메르켈은 2015년 세계 언론을 장식하게 될 문장을 이야기한다. “독일은 강한 국가입니다. 우리는 많은 것을 해냈습니다. 그리고 해낼 ...
김인건
| 2023.11.30 16:01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나치 때 박해를 받았던 독일인들이 다른 나라에서 보장된 망명의 권리 덕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것이 근거가 되어, 망명의 권리는 단서 조항 없이 기 ...
김인건
| 2023.11.29 11:54
“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 독일판 깻잎 투쟁기
계절노동자 중 일부는 “우리는 노예처럼 일했다.”, “그들은 우리의 여권을 빼앗고, 일을 제대로 안 한다고 총과 칼로 위협을 하기도 했다.”, “다시 ...
손어진
| 2023.11.22 10:48
보트피플(서독)과 손님노동자(동독)로 온 베트남 이주민
이들은 ‘독일에 사는 베트남 사람들은 보이지 않고, 조용해 이민자들의 모델이 된다’, ‘영원히 열심히 일하는 영리한 아시아인’이라는 진부한 편견 ...
손어진
| 2023.11.12 10:05
쫓아내려는 국가, 남으려는 사람들, 그리고 아이들
이주노동자의 삶이 선주민의 삶과 가까워지자, 이들을 혐오하는 극우의 목소리가 사회에서 점점 힘을 얻었다. ...
김인건
| 2023.11.01 15:43
저임금과 차별대우에 ‘파업’으로 맞선 이주여성노동자들
회사의 예상과 다르게, 여성 이주노동자들은 시위의 동력을 잃지 않았다. 점차 독일인 남성 숙련공들도 시위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
김인건
| 2023.10.25 17:10
‘한국에 돌아가지 않겠다’ 독일 정부와 맞선 한인 간호사들
"우리는 독일 병원이 필요로 했기 때문에 이곳에 왔다. 하지만 우리는 상품처럼 이리저리 보내지기를 원하지 않는다." ...
김인건
| 2023.10.18 10:24
떠나지 않고 남은 이주노동자들이 만든 사회
이민자 국가로서의 독일의 이야기는 손님 노동자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이들의 서사가 ‘손님‘으로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다. ...
김인건
| 2023.10.02 10:46
네 ‘이웃’을 가두거나 쫓아내지 말라
한사람 한사람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았으면 좋겠어요. 내가 만난 그들은 그냥 나의 이웃일 뿐이었고, 행복할 권리가 있는 소중한 한 사람이었어요 ...
박주연
| 2023.02.24 20:40
수많은 외국인 아이들이 한국에서 자라고 있다
나는 2004년의 어느 일요일 서아프리카 토고라는 곳에서 태어났다. 태어나기 전날, 어머니와 아버지는 뮤지컬을 보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어릴 때 ...
피스로드
| 2022.10.29 19:28
1
2
3
4
5
6
7
8
9
10
33
많이 본 기사
1
어떻게 전세사기 피해에서 탈출했냐고요?
2
“나는 나의 선배입니다” 외롭지 않은 노동환경을…
3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4
소멸과 필멸, 그리고 불멸
5
청년 여성의 ‘고립’을 구성하는 요소들
6
“부산 갈 테니 기다려,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
7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8
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 ‘쓸모 없어 빛나는’ 세계
9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
10
생계와 가치,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
국경너머
많이 본 기사
1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2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3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
4
“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 독일판 깻잎 투쟁기
5
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 그런데 ‘제한’이 많다고?
최신기사
우리는 그녀의 노트를 태우지 않기로 했다
청년 여성의 ‘고립’을 구성하는 요소들
What Is the Future of Marriage?
어떻게 전세사기 피해에서 탈출했냐고요?
“나는 나의 선배입니다” 외롭지 않은 노동환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