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1.01.27 [00:27]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퀴어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재난경보 문자’들
‘띵동, 저 다음 주부터 2주간 알바 나오지 말래요’, ‘탈가정 청소년 성소수자인데요. 재난지원금을 제가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당장 들어 ...
송지은, 정용림
| 2021.01.24 15:39
‘안전한 커뮤니티’가 돌아올 때까지 좀더 힘내요
“트랜스젠더들은 안전하게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별로 없는 것 같아.” 무례한 질문을 받거나, 아웃팅을 걱정해야 하는 교류는 그 누구도 원치 않는다 ...
리나
| 2020.12.30 10:23
트랜스젠더, 당신의 목소리와 함께하겠다
오랜만에 꽃을 샀다. “추모행사에 가는데 어떤 꽃이 좋을까요?” 꽃집 사장님은 하얀색 꽃을 추천해 주셨다. ...
박주연
| 2020.11.25 09:58
당신이 모르는, 퀴어들의 마을
홍대부터 시작해 상수, 합정을 지나 이제 망원동 집값도 만만치가 않다. 그럼에도 나와 내 친구들은 이 동네를 당분간은 떠날 수 없을 것이다. ...
시시선
| 2020.10.15 17:36
방송 미디어 제작현장에도 퀴어 노동자가 있다!
김일란 감독은 이제 퀴어 서사에 대한 요구나 제작이 늘어나고 있긴 하지만, 그 제작환경이 퀴어친화적인가에 대한 이야기로 아직 연결되지 않고 있다 ...
박주연
| 2020.09.12 18:28
케이팝, 젠더의 경계를 넘어라
여성아이돌 그룹 f(x) 멤버인 엠버의 솔로곡 “Borders”(보더스)는 가사를 통해, 두려워하지 말고 Borders(‘경계’ 혹은 ‘한계’)를 넘으라는 메시지를 정 ...
박주연
| 2020.08.10 18:28
다른 몸, 다른 춤을 재현하는 퀴어 댄서들
큐캔디는 특히 선곡에 공을 많이 들인다. 노래를 만들거나 부른 아티스트가 혹시 성폭력 가해자는 아닌지, 가사에 성차별적인 내용은 없는지, 너무 성애 ...
빼갈
| 2020.08.04 10:10
팬픽의 퀴어한 진화, 퀴어페스
퀴어페스와 알페스는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묘사가 등장하는지 등의 여부에 따라 구분하기도 하는데, 중요한 부분은 인물이 자신이 ‘정상성’ 바깥 ...
박주연
| 2020.07.21 17:11
팬들이 만드는 환상 세계 ‘팬픽’은 무엇인가
판타지로서 창작물 속에서 여성캐릭터라는 표상과 현실의 여성을 1 대 1로 등치시키고 이를 ‘당사자성’ 문제로 환원하는 최근의 흐름에 대해 문제를 ...
박주연
| 2020.07.20 20:59
트랜스젠더 여성, 에디가 사는 동네
내가 트랜스젠더 정체성을 가지고 부모님과 함께 살았던 지역에서 편하게 이웃과 만날 수 있을까? 원하는 옷을 입을 수 있을까? 이태원에서는 가능했다 ...
에디
| 2020.07.02 09:47
1
2
3
4
5
6
7
8
9
10
25
많이 본 기사
1
코로나 시대,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같이 살아가는 법
2
‘낙태죄’ 사라진 한국,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
3
‘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
4
남학생은 ‘자위’, 여학생은 ‘월경’에 대해 묻는다
5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재난경보 문자’들
6
‘관심군’ 선별…학교는 우리가 어떤 ‘몸’이길 바라는가
7
“여성살해를 멈춰라”…멕시코의 페미니즘 열기
8
노동자의 ‘다른 이미지’, ‘새로운 서사’를 쓴다는 것
9
코로나 시대야말로 “사후피임약을 약국에서”
10
예비 의료인에게 닥쳐온 코로나19
소수자 시선
많이 본 기사
1
‘안전한 커뮤니티’가 돌아올 때까지 좀더 힘내요
2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재난경보 문자’들
최신기사
빼앗긴 정체성과 권한을 되찾는 음악적 목소리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보낸 ‘재난경보 문자’들
‘검은 시위에서 국회까지’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것들
‘낙태죄’ 사라진 한국,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선례”
Listening to Women’s Voices at the Euljiro Redevelopment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