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3.12.02 [10:19]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일다의 방
아픈 사람 이야기, 어디서 접하고 있나요?
“브이로거들이 건강한 몸으로는 결코 알 수 없는, 아픈 몸의 경험에서만 배울 수 있는 삶을 성찰하고, 그것을 영상에 담아 보여준다” ...
박주연
| 2023.09.28 12:25
아픈 몸들이 속속 말하기에 나섰다!
“병원에 가면 내 앞뒤로 사람이 이렇게 많은데, 거리에선 왜 그 어떤 아픔도 보이지 않는걸까? 너무 이상하다. ...
박주연
| 2023.08.30 15:54
‘러브신’을 방해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IC는 배우 편이라는 오해가 있는데, IC는 감독의 의도에 맞는 장면을 만드는 것과 동시에 배우의 권리도 지켜질 수 있도록 조율하는 사람이에요. ...
박주연
| 2023.06.06 21:43
촬영 현장에서 NO라고 말하기 어렵잖아요
감독이 있고, 프로듀서가 있고, 조감독이 있고, 헤드 스텝이 있고, 어시스턴트들이 있고…. 피라미드 아래에 있고, 나이가 어린 사람들은 어떤 말을 하기 ...
박주연
| 2023.06.05 17:23
자궁과 질 이야기 어디까지 들어봤니?
‘여성’의 어떤 표식처럼 얘기되지만, 때때로 ‘여성’들에게도 낯설게 느껴지는 자궁과 질에 대한 이야기를 펼치는 장이 열렸다. ...
박주연
| 2023.04.19 11:56
환자들의 ‘이야기’가 섭식장애 인식과 치료방식 바꿨다
그는 섭식장애를 “(신체적) 마름에 가치를 두는 사회 환경 속에서 발생하는 병”이며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괴로움과 어려움의 표현 중 하 ...
이진솔
| 2023.03.29 12:09
암의 경험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연구
대학 강의에서 출석 점수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출석을 성실함으로 간주하고, 좋은 점수를 받아도 되는 근거로 제시하는 공식은 암환자인 하은을 ...
지아
| 2023.03.25 09:55
‘먹는 행위’도 ‘굶는 행위’도 정치적인 것이다
하필 그 시점에 단식원에 들어갈 것을 선택했던 걸까? 아마도 나는 몸을 바꾸는 것으로 내 인생이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는 기대를 여전히 갖고 있었던 ...
한설아
| 2023.03.20 10:29
지상파 데뷔 이후, 굶기 시작했다
누가 봐도 참 잘 되던 시기였는데, 내 마음은 그렇지 못했다. 그 때부터 내 속은 시커멓게 타들어 가고 있었음을 나는 알지 못했다. ...
바바라
| 2023.03.10 09:46
당사자들이 말하는 “납작하지 않은 섭식장애”
어떤 불행의 원인이 당사자 자신에게 있다고 여겨질 때, 사람들은 뿌린 대로 거둔다는 생각으로 그들의 불행을 외면해 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
박지니
| 2023.02.18 21:10
1
2
3
4
5
6
7
8
9
10
135
많이 본 기사
1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2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3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
4
생계와 가치,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
5
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
6
“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 독일판 깻잎 투쟁기
7
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 ‘쓸모 없어 빛나는’ 세계
8
“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 서로에게 친절해져요”
9
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 그런데 ‘제한’이 많다고?
10
‘너 뭘 하고 싶어?’ 저 자신한테 계속 묻는 것 같아요
일다의 방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
“부산 갈 테니 기다려, 부산과 오노미치를 이어보자”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The Victim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Raised Her Banner: “I Didn’t Back Down”
생계와 가치,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