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5.01.17 [14:48]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일다의 방
암 진단받았을 때만 해도 직장을 잃을 줄 몰랐다
암 환자로서의 경험을 공개하면서, 지민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암과 같은 중증 질병을 가진 사람을 만난 적이 없다는 사실에 놀랐다. ...
지아
| 2025.01.11 12:16
당사자 자조모임과 ‘동료’가 왜 중요하냐고요?
섭식장애 당사자 자조모임이 대부분 가지고 있는 규칙은 “말한 채로 들은 채로”라고 한다. 말한 채로 들은 채로는 평가를 하지 않고 그저 순서대로 자 ...
최명휘
| 2025.01.06 08:40
재난 상황에서 나의 역할은?
“가치의 방향으로 걸어간다는 것은 좋은 느낌을 느끼는 것(feeling good)이 아니라, 좋은 삶을 사는 것(living good)이다.” ...
나랑
| 2024.10.31 15:29
조현병 당사자의 보호자, 자립을 말하다
100명 중 1명이 걸릴 수 있다는 이 확률은 결코 작지 않고, ‘내’가 혹은 나의 사랑하는 누군가가 겪을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생각할 수 있도록 인식이 ...
심지안
| 2024.10.17 09:55
‘몸’에게 편지를 쓰다
“페미니스트라면서 왜 자기 몸은 그렇게 가부장처럼 대해요?” 우리는 몸을 머리나 정신에 딸린 도구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
나랑
| 2024.10.14 11:15
돌봄이 자기 과제가 된 이상 ‘배워야만 했다’
알기 이전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 있다. 보이지 않으면 이해가 안 되고 이해가 안 되면 마음으로 버티게 되는데, 의지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앎은 마 ...
심지안
| 2024.10.06 11:01
‘대화 기법 글쓰기’로 만나는 내 안의 비판자
‘너 별 볼 일 없구나?’라는 말이 내 안에서 들릴 때, 그것이 진실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아, 나를 별 볼 일 없다고 말하는 인격이 또 나를 사로잡았구 ...
나랑
| 2024.09.28 10:43
“동생의 조현병이 재발할 것 같아요”
J는 30대 초반의 여성으로 결혼해 원 가족과 따로 살고 있지만 중요한 순간마다 부모님을 도와 조현병 당사자를 돌본다. ...
심지안
| 2024.09.26 15:44
마음속 ‘그림자’를 들여다보는 글쓰기
낭만적 사랑에 빠지는 것도 투사다. 내 안에 그런 측면이 있다는 것을 모른 채 상대에게서 좋은 점을 발견하고 사랑에 빠진다. 그리고 계속 기대하고 요 ...
나랑
| 2024.09.15 11:25
나를 찾아온 감정 손님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당신을 자주 찾아와 힘들게 하는 감정은 무엇인가? 그 감정 손님을 맞이하는 당신만의 방법은 무엇인가? ...
나랑
| 2024.08.28 09:30
1
2
3
4
5
6
7
8
9
10
137
많이 본 기사
1
어떻게 하면 잘 아프고, 잘 쉬고, 또 일할 수 있을까?
2
도쿄고등법원 ‘동성혼 인정’ 5가지 핵심 근거
3
전쟁에서 일어난 일을 어떻게 기록하고 애도할 것인가?
4
암 진단받았을 때만 해도 직장을 잃을 줄 몰랐다
5
우리가 함께 만든 광장, 배제하지 않고 연결되어
6
가난한 나라 여성 노동력을 ‘가정에 투입’하는 국가
7
해일 앞에서, 우리는 용감한 우정을 나눌 것이다
8
당사자 자조모임과 ‘동료’가 왜 중요하냐고요?
9
‘남태령 대첩’ 이후, 여성과 소수자가 열어갈 세상
10
내 쓰레기통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것은
일다의 방
많이 본 기사
1
암 진단받았을 때만 해도 직장을 잃을 줄 몰랐다
2
당사자 자조모임과 ‘동료’가 왜 중요하냐고요?
최신기사
‘한국 시민사회와 연결되고 싶어’ 찾아온 일본 청년여성들
가난한 나라 여성 노동력을 ‘가정에 투입’하는 국가
Couldn’t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be expanded to include care work?
도쿄고등법원 ‘동성혼 인정’ 5가지 핵심 근거
전쟁에서 일어난 일을 어떻게 기록하고 애도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