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마 한벌 마음대로 입기 어렵다니

왜 이런 것에 신경을 써야 할까

이희연 | 기사입력 2007/06/21 [20:48]

치마 한벌 마음대로 입기 어렵다니

왜 이런 것에 신경을 써야 할까

이희연 | 입력 : 2007/06/21 [20:48]

여름이다. 그래서일까? 요즘 거리에 나가면 하늘하늘한 치마가 많이 눈에 띈다. 그리고 나풀거리는 원피스에 눈이 가고, 진열되고 있는 색이 고운 치마를 보면 나도 모르게 탐이 난다. 나도 저런 거 한번 입어볼까 하고 막상 맘에 드는 옷을 집는 순간까지는 기분이 참 좋다. 그러나 매번 마지막에 망설이게 된다. 그것은 끊임없이 들었던 잔소리들 때문이다.

몸이 불편하니까, 보기 싫으니까

나는 뇌성마비를 지닌 장애여성이다. 걷는 모습이 남들과는 달리 좀 특이해서 그렇지, 일상 생활에 별로 지장은 없다. 지장이 있다면 계단에서는 좀 조심해야 할 정도? 그러나 엄마는 일단 몸이 불편하니까 움직이기 편해야 한다는 것과, 보기 싫다는 이유를 들어 내가 치마를 입는 것에 늘 반대하신다. 내가 그건 엄마의 생각일 뿐이라고 누누이 강조를 해도, 내가 치마를 입으면 눈살부터 찌푸리신다.

남들의 시선을 많이 의식하는 엄마는 몸이 불편한 딸이 하늘하늘한 치마를 입고 몸을 흔들면서 걷는다는 것을 용납할 수가 없으신 것 같다. 조금이라도 특이하면 외계인 보는 듯 쳐다보는 거리의 시선도 이겨내기 힘드신 것이다. 그래서 늘 평범하고 눈에 띄지 않는 옷차림을 아직까지 강조하신다.

어릴 땐 치마를 많이 입었다. 그런데 사춘기가 되자마자 내 옷장에 치마가 하나 둘 사라져가더니 지금은 여름치마 하나 사는 것도 눈치가 보인다. 아마도 내 여성성을 억지로 감추고 싶어하시던 엄마의 뜻대로 이끌린 것이 아닌가 싶다. 얌전하고 깨끗한 것을 주장하는 엄마와는 달리, 난 가끔 화려한 옷도 입고 싶고 찢어진 청바지도 입고 싶다. 그러나 어쩌다 조금 화사한 차림으로 거리에 나가면, 날 바라보는 눈길들이 평소보다 두 배는 늘어난다.

옛날에 알던 어떤 사람은 내가 상점에서 치마를 고르자 ‘네가 그걸 입고 다니다 넘어져서 속옷이라도 보이면 무슨 망신이냐?’는 말을 서슴지 않고 내뱉었다. 장애여성은 늘 넘어지고 힘들 것이라는 생각, 난 그때 그 사람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됐다. ‘네가 내 생활을 본 것처럼 이야기하는데?’라고 말하며, 오기로 그 옷을 산 적이 있다.

그때 난 주저앉은 일이 거의 없었다. 그런데도 걸음이 불편하면 걷다가 넘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다니, 그리고 그것 때문에 옷 사는 것까지 간섭 받아야 한다는 것이 불쾌했다.

‘그런 분위기에서 치마를 어떻게 입니?’

그런 편견들은 무시해버릴 만한 상황에 있는 지금에도, 여전히 치마는 망설여지는 품목이다. 습관이란 그래서 무서운 것인가 보다. 이젠 자유롭게 옷을 입을 수 있는데도 망설임을 느끼게 하다니 말이다. 이러한 습관의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지금 생각하면 나 역시 좀 바보 같았다고 느껴지기도 한다.

내가 다닌 대학의 학과는 유난히 여자들이 치마를 입지 않았다. 소위 ‘운동권’이라고 불렸던 여자는 물론이고, 평범한 내 친구들 역시 그랬다. 그리고 어쩌다 하늘하늘한 치마라도 입고 온 친구가 있으면, 그 친구는 조금 어색하고 부끄러운 시선들을 받아야 했을 것이다.

지금 생각해보면 성희롱 수준의 농담도 던진듯하다. 어느 남자선배는 이런 말도 했었다. “니네가 그렇게 꾸미고 얼굴 만질 시간이 있으면 그 돈과 시간으로 공부를 하던지, 나라를 위해 고민이라도 해봐라.” 지금 학생들이 들으면 웃을지 몰라도 전에는 그 말이 통했다.

그런데 남자들의 옷차림에 대해선 아무 말도 들리지 않았다. 보기엔 분명히 꽤 신경 썼을 법한 차림인데도, 여자들에게 했던 ‘그 돈이 있으면’ 이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없었다.

오랜만에 만난 선배가 학생 때 절대 입지 않던 나풀거리는 치마를 입은 것을 보고 물어본 적이 있다. ‘선배는 치마 잘 안 입었는데?’라고. 선배의 대답은 예상대로였다. ‘그 분위기에 이런 치마를 어떻게 입고 다니니?’ 라는 말에,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였다. 그때 우리는 참 많이 억압당한 것이 아닐까.

다리에 꽂히는 시선들

그러한 편견을 극복한다고 해도 치마를 망설이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굽은 다리와 굵은 털이다. 나의 다리는 심하지는 않지만 약간 굽어 있다. 그리고 운동을 많이 한 탓에 알이 그대로 배겨 있는 듯이 보인다. 다리에 털도 많다. 그것은 예전에 남자친구의 강요로 다리 면도를 몇 번 한 후 나타나는 현상이다. 짧은 치마를 입기에 망설여지는 체형이다.

한편으로는 이런 생각도 든다. 왜 여자들은 이런 것에 신경을 써야 하는지 말이다. 치마를 입기 위해, 혹은 반바지를 입기 위해, 남자들이 하지 않는 다리 면도를 해야 하는지, 옷을 입을 때 주위의 시선을 더 많이 고민해야 하는지.

어떤 여성은 호르몬 성분의 약을 어쩔 수 없이 복용하고 있는데, 몸에 털이 너무 많이 나는 바람에 짧은 옷을 입을 엄두를 못 낸다고 한다. 어쩌다 짧은 치마라도 입으면 자신의 맨다리에 느껴지는 시선을 견딜 수 없다고 한다. 그냥 무시하고 입기엔 장애물이 너무 많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옷을 입는데 있어서 이런 식의 강요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오래 알고 지내는 친구는 다르게 말한다. 넌 작은 체형이라 바지보다는 치마가 어울릴 것이라고, 네가 어색할 뿐이지 막상 사람들은 안 그럴 거라고. 이런 말을 하면서 내게 어울리는 것을 이야기해주거나, 입고 싶은 것을 입으라고 말해 주는 사람도 있다.

여름에 치마는 참 시원하다. 시원하고 좋아하는 것을 남들의 시선과 강요 때문에 포기해야 한다는 것은 정말 억울한 일이다. 왜 남들과 다르면 시선의 폭력이 가해지는 것일까? 생각해보면 실제적인 이유도 없는, 평균에 따르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제제일 뿐이다. 바라건대 내 취향대로 옷을 입을 수 있고, 남들도 내 외적인 것에 너무 많은 시선을 주지 않는 사회가 되어, 치마 하나 고르는데 이런 복잡한 생각을 안 하게 되었으면 한다.


※이 기사는 2007신문발전기금 소외계층 매체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 누가강요한단게아니라 2012/07/25 [19:20] 수정 | 삭제
  • 그냥 그렇게 느껴진다는거죠. 동의해요. 지금은 저 치마도 원피스도 그냥 막 입고다니지만 1년전만해도 자신감없어서 못입고다녔어요. 학창시절에 비만이었거든요. 이제는 정상체중이지만 고등학교졸업때까지 비만이란 이름표를 달고다녔어서 그게 계속 정상체중되고도 이어지더라고요. 난 뚱뚱하니깐. 내가입으면 안되는거야. 지금은 참 웃깁니다. 그 누구도 나한테 뭐라고안했는데 왜 나혼자 그런핑계를 대고있었을까. 지금생각해보면 1년전까지의 나는 정말 바보같고 핑계만대는 겁쟁이지만 그때의 나는 어쩔수 없는거였거든요. 내가 용기를 가지면되는건데 그게 그렇게 어려워요 그런상황에서는. 남탓하는게 아니라 그냥 한탄인거죠. 합리화라하면 할말 없지만 , 한심하긴하지만 그냥 다 억울한거죠. 난 왜 용기없게 살고있나. 어쩌면 자기자신에게 하고싶은말을 돌려서 이 사회한테 왜 내가 눈치를보지하고 말하는걸지도 ㅎㅎ 그래도 자기방식대로 살아가는게 훨씬 좋은거같긴합니다. 제가 변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고요 ㅎㅎ
  • cool 2007/07/05 [17:43] 수정 | 삭제
  • [왜 이런 것에 신경을 써야 할까]라고 부제를 달아놓으셨는데... 그런것에 신경쓰는것이 부당하다고생각되면, [신경쓰지마세요]..간단하죠.... // 신경안쓰려해도 자꾸 신경쓰인다면.... 그건 당신의 책임이지 누구 딴 사람에게 책임 떠넘기지 마세요..//// 그리고 님의 학교시절에는 분명 어떤 식의 강요가 있었던것 맞네요... /// 물론 사회에는 강요가 있습니다. 없진 않아요.. 아무리 더워도 다 벗고 다니면 당장 잡혀가죠..그건 단순히 사회의 시선의 문제가 아니죠. // 수영장에서는 자신있게 수영복입어도, 길에서는 자신있게 수영복 못입는 사람은 자신의 몸에 대한 자신감이 없기때문에 길에서 못벗는게 아니라, 사회적으로 길에서는 수영복입고 다닐수 없는 합의를 알기때문에 그런것이고......./// 이 분처럼 여자인데 자신의 신체 조건을 신경쓰여서..치마를 못입는것은 자신의 문제일뿐이죠... 님에게 치마를 못입게하는 어떤 사회적 합의도 없고, 사회적 강요도 없습니다. 제발 다른 핑게는 아대셨으면 합니다.
  • cool 2007/07/05 [17:26] 수정 | 삭제
  • 진짜로 가끔 여성 사이트에 들어오면..왠 남의 탓을 그렇게 하는지. 자신들이 힘든건 다 남의 탓이래............ [다리가 굽고, 털이 나고] 그래서 치마 입기가 힘드면 그건 당신 문제지..왠 "강요"라는 말까지 써가면서 남의 핑게를 대십니까............ 남과 다르고 특이하면 당연히 눈이가죠. 솔직히 말하면, 이효리, 권상우같은 몸짱이 노출하는 옷을 입으면 눈이 더 갑니다....... 그런 몸짱들도 사람들이 쳐다보는 시선이 싫으면, 그렇게 못입는거고, 좋으면 즐기는 겁니다. 그럼 사람들이 이효리 배꼽을 쳐다보면 [노출하지말게 강요]하는겁니까?? // 다르면 쳐다보는건 당연합니다. 너무 이상하도, 너무 잘생겨도, 너무 화려해도 쳐다봅니다. 그 사람들이 당신을 벌을 주려고 쳐다봅니까????? 시선은 시선일뿐이죠.. 무슨 [강요]가 아닙니다........그게 싫어서 못입으면 당신의 스스로의 문제일뿐, 남의 탓을 왜 합니까. // 여성주의의 논리중에 많은 부분이 그런식의 책임떠넘기기더군요.
  • free 2007/06/24 [01:56] 수정 | 삭제
  • 이 글을 보니까 제가 아는 언니 생각이 나네요.
    언젠가 크게 다쳐서 다리에 흉터가 생겼는데, 그래서 치마를 입을 수 없다는 얘기를 얼핏 하더라구요.
    치마 취향이 아닌 저와는 달리, 그 언니는 치마가 잘 어울리기도 하고.. 치마를 좋아했어요. 평소엔 치마를 잘 입지 않았지만, 여름에 몇번은 꼭 입곤 했죠.

    고등학교 다닐땐 학교에서 강제로 치마를 입힌다고 해서, 오히려 치마를 안입고 바지차림으로 버티는 '깡'도 보여줬던 언니죠. ^^
    그런 언니가 다리 상처때문에 치마를 입지 못하게 됐다는 것이 안타까웠는데.. (그때도 물론 저는 상관없다고 얘기했지만요..)
    지금은 그 언니가 다리 흉터에 개의치않고 치마를 입어요. 바지를 입든 치마를 입든 상관이 없죠. 이젠 그 언니 다리에 흉터가 있는지 없는지조차 기억이 안날 정도죠.

    누가 무슨 차림으로 다니든, 남의 옷차림에 신경을 쓰는 사람이 우습죠. 내 몸에 대해서 누가 뭐라하든, 남의 몸에 대해서 뭐라고 하는 사람이 한심한 거죠.
    그런 것에 개의치않고 자기 방식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멋져요!
  • 혁은 2007/06/24 [01:24] 수정 | 삭제
  • 공감이 많이 가네요.. 저는 교통사고로 인한 수술로 다리에 상처가 꽤 많이 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마가 입고 싶었으니까 예전에는 치마를 입을 때면 그 상처들을 가리기에 바빴었는데, 작년부터는 그런 다리를 내놓고 아예 미니스커트를 입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상당한 용기가 필요한 일이었지만, 곧 익숙해지더라구요. ^^ 그런 용기를 낸 제 자신이 대견하기도 하고 미니스커트를 입을 수 있는 다리에 대한 편견에 나의 몸이 저항하는 것 같아서 기분이 좋기도 하구요. 치마를 입는 것에 많은 검열이 뒤따르고 저도 그것때문에 누가 내 다리의 상처를 알아차릴까 참.. 신경썼지만, 스스로 그런 편견에 균열을 내는 것도 저항의 한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
  • 파랑 2007/06/23 [13:32] 수정 | 삭제
  • 치마 입을 땐 유독 그랬죠.
    다리가 어떻다, 저떻다.. 하고 주위에서 우스개인양 다리살에 대해서나 모양에 대해서 얘기를 듣게되었어요.
    그런 소리를 들으면서 놀랐던 경험도 있어요. 다리가 통통하다는 소리를 듣고서, 저는 처음으로 내 다리가 살이 쪘다고 느꼈거든요. 그런 소리를 안 들었으면 살쪘다고 생각하지 않았을 걸요, 아마..
    치마 입은 모습을 보고 다리 살 쪘다고 얘기하는 사람들은, 결국 내게..
    그 다리로 치마입지 말라는 얘기를 하는 것 아니겠어요? 딱 그렇게 표현하지 않았을 뿐이지.. 자유롭게 옷을 입을 권리를 제약하는 것 같아요.
    몸매나 외모에 대해서 너무 불필요한 말들이 많은 거 같네요.
  • nina 2007/06/22 [03:57] 수정 | 삭제
  • 치마를 입을 땐 이래저래 신경을 쓰게되고..
    그래서 내면에서 검열을 당하는 느낌이 들어요.
    사회적인 시선 때문 탓이 크겠죠.
광고
소수자 시선 많이 본 기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