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빈 화분에 파뿌리를 심었다. 어린 시절 할머니께서 파를 흙에 묻어두고서 필요할 때마다 잘라 쓰시던 일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난 잘라먹고 1cm정도 남은 밑동을 조심스레 흙에 심으면서도 ‘과연 자라긴 할까?’하고 속으로 의심했었다. 하지만 흙이 마르지 않도록 제 때 물주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았더니, 내 정성을 알아챘는지 새파란 싹이 살며시 올라오는 것이 아닌가. 지금은 영락없는 파의 꼴을 갖춰 잘라 먹을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파 살 일 없다, 생각하니 마음이 흡족하다.
작은 밭을 가꾸는 꿈
그런데 나는 도시에 살면서도 흙을 만지고 야채 키우는 일을 포기하지 못하고 있다. 사실 난 도시에서 나서 도시에서 자란 전형적인 도시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시절 내 꿈은 특별한 직업을 갖는 것이 아니라, 엉뚱하게도 작은 밭을 갈며 사는 삶이었다. 아마도 그때의 꿈이 아직도 내 속에 그대로 살아 숨쉬는 모양이다. 한 해는 근처 산자락 공터 땅을 개간해 깻잎, 고추, 가지, 호박 등을 키워보기도 했다. 척박한 땅의 돌을 골라내고, 퇴비를 주고, 집에서부터 물을 져 나르는 등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그래도 열매가 맺힐 때면 그 모든 수고로움을 잊었다. 그 땅이 포장되자, 이번에는 베란다에 과일상자를 구해다 놓고 깻잎, 고추, 방울 토마토 등을 키워 신선한 식탁을 차려내기도 했다. 어느 해인가는 양질의 거름, 분변토를 얻기 위해 꽃화분에서 발견한 지렁이 몇 마리에게 음식물쓰레기를 거둬 먹이며 지렁이 사육에 몰두하기도 했다. 이처럼 감히 도시에서 채소 키우는 엄두를 내보는 것도 할머니의 밭농사를 곁눈질해 둔 덕분이 아닌가 싶다. 어린 시절부터 함께 살았던 할머니는 집 담벼락 아래 자투리 땅을 이용해 온갖 야채들을 키워 밥상에 올리곤 하셨는데, 호박, 상추, 가지, 고추, 깻잎, 파 등 그 종류도 다양했다. 물론 내가 할머니의 작은 밭에 가서 물 한 번 준 적 없었지만, 눈으로 보고 자란 것이 그래도 공부가 되었던가 보다. 그래서였는지, 중학교 시절 난 학교 정원에다 밭을 일구기도 했다. 당시, 산 위로 이사한 학교는 건물만 덩그러니 있었을 뿐, 정원으로 추정되는 곳에는 나무도, 꽃도 없었다. 마침 담임선생님께서 고구마를 물에 담궈놓고 싹을 틔우고 있어, 그 싹 난 고구마를 잘라 심는 것으로 내 어설픈 농사가 시작되었다. 고구마로 시작했지만, 그 밭은 같은 반 친구들이 가져온 묘종들 덕분에, 깻잎, 고추, 옥수수 등 다양한 야채로 뒤덮이게 되었다. 퇴비를 줘야 한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했던 초보 농사꾼이었던지라, 결국 고구마 몇 알을 수확한 것으로 만족해야 했지만, 그때의 농사는 참으로 즐거운 놀이와 같았다. 그 행복한 기억 때문이었는지, 고등학교 시절 어느 순간부터 난 밭 갈며 사는 미래를 그려보았는지도 모르겠다. 농사에서 ‘생명 순환’의 자연적 체험을
다시 말해서, 내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먹거리를 스스로 키워내는 과정에서, 다른 생명체를 돌보고, 돌본 생명체의 소중한 생명을 취해 내 생명을 유지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자연의 법칙을 직접 몸으로 체험하며, 언젠가는 내 몸 역시도 흙으로 돌아가 다른 생명체를 살리게 되리라는 사색에도 빠져보게 된다. 그래서 농사는 우리를 자연과 문명의 조화로운 경험으로 인도하고, 우리 삶을 자연과 직접적으로 관계 맺게 하여 보다 풍요롭게 해 준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요즘의 아파트촌 아이들이나 어른들은 질서정연한 가로수 길을 걷고, 멋진 공원에서 뛰어 놀며 잘 가꿔진 아파트 정원을 바라보고 지내지만, 인공적으로 조성된 자연환경 속에는 농사가 안겨주는 자연 체험의 기회가 없다는 점이 안타깝다. 인스턴트 음식이나 패스트푸드로 배를 채우는 행위는 먹는 일 자체가 단순한 생명유지 행위를 넘어 자연의 생명순환과정에 참여하는 것임을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오리라. 봄에 화초를 사서 겨울이면 밖에 내놓고 얼려 죽이는 행위는 자연, 생명을 진정으로 돌보는 마음이 빠진 소비행위일 따름이다. 또 보도블록으로 덮인 인도 위를 걷고, 포장된 도로 위에서 교통수단에 의지해 이동하는 도시인에게 흙이란 낯설기만 하고, 비 오는 날, 길 위의 지렁이도 반갑지 않은 존재가 된다. 사실 비자립적인 도시는 과도한 화석연료 소비에 의존하고 있어, 화석연료가 부족하거나 결핍되는 순간, 도시는 활기를 잃고 마비되게 될 것이다. 아니, 더 이상 그처럼 화석연료 의존적인 삶의 방식을 고집해서는 안 될 것이다. 소비적이고 비자립적인 도시는 건강하지 못한 공간이다. 날로 비대해져 가는 도시의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면, 지금처럼 언젠가 고사하도록 도시를 방치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그 도시에게 생기를 되찾아줄 방도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본다. 도시에게 생기를 되찾아줄 방도
도시인인 내가 끊임없이 농사를 열망해 온 것도 어쩌면 도시가 잃어가는 것, 상실한 것에 대한 욕망의 다른 표현이었을까? 그러고 보면, 오래 전 아파트 정원의 꽃과 나무를 뽑아내고 그 땅에 채소를 길러 먹던 할머니가 떠오른다. 참 황당했던 기억인데, 지금 돌이켜 생각하면, 그 할머니도 도시에서 잃어버린 것을 되찾고 싶었던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쑥쑥 잘 자라는 파를 바라보고 있으니, 다른 채소도 키우고 싶은 마음이 들어, 오늘은 산 밑에서 상추 모종을 사 들고 왔다. 파릇파릇한 상추 잎이 참 탐스럽다. *함께 읽자. 요시다 타로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들녁, 2004)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일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이경신의 철학하는 일상 관련기사목록
|
녹색정치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