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홍 이불, 문제집 꽂힌 책장…아늑한 나의 감옥?!

<주거의 재구성> 어느 탈가정 청소년의 “내가 살고 싶은 집”②

라일락 | 기사입력 2020/05/31 [08:29]

분홍 이불, 문제집 꽂힌 책장…아늑한 나의 감옥?!

<주거의 재구성> 어느 탈가정 청소년의 “내가 살고 싶은 집”②

라일락 | 입력 : 2020/05/31 [08:29]

10대 초반이나 그 이전에 ‘나는 나중에 커서 어떤 집에서 살까?’를 생각하면 막연히 흰색의 커다란 단독주택과 잔디 깔린 정원, 그리고 강아지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집을 나온 이후 내가 꿈꿨던 집은 단지 ‘답답하지 않은 집’이었다. 나의 사생활이 보장되며, 누구에게도 허락받을 필요 없이 내가 원하는 것들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곳 말이다.

 

원하는 시간에 드나들 수 있고, 원하는 옷을 입고, 원하는 시간에 잠들고 깨어나는 것. 지금의 내가 생각했을 때 너무나 사소한 일상이지만 청소년인 나에게는 당연하지 않은 것들이었다. 나는 그 자유를 찾아 집을 나왔다.

 

▲ 많은 청소년에게 있어서 집은 아늑한 울타리라기보다 부모의 통제를 받는 갑갑한 공간이다.  ©일러스트: studio 장춘


나뿐 아니라 많은 청소년에게 있어서 집에서 산다는 것은 겉보기에 안락한 감옥에서 사는 것과 별반 다를 바 없다. 나의 경험에 비추어보건대 나는 집을 나오고 나서야 비로소 숨을 쉴 수 있게 되었다. 집은 가장 안전하고 아늑한 울타리로 묘사되지만 어떤 이들에게는 통제와 폭력의 공간이다.

 

부모의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을 하면 안 되는 곳. 언제든지 용돈이 끊길 수 있고, 맨발로 쫓겨날 수 있는 곳. 말을 듣지 않았을 때는 30센티미터짜리 자나 나무막대기로 손바닥을 맞는 곳. 혹은 벽 한구석에서 손을 들고 벌을 서야 하는 곳. 마음대로 내 방문을 잠그면 안 되는 곳. 애인을 초대해서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없는 곳. 통금시간을 지켜야 하는 곳. 누군가가 내 가방이나 일기장을 허락 없이 열어볼 수 있는 곳.

 

청소년인 나에게 집은 가장 사소한 일상까지 침해받는 공간이었다. 나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부모는 많은 통제와 체벌을 가했지만, 정작 나는 집에서 안전하지 못했다고 느낀다. 집을 나온 이후에는 세상이 ‘가출청소년’에게 건네는 손가락질과 미성년자여서 겪은 법적인 난관이 있었지만, 부모와 한집에서 함께 살 때보다 마음이 편했던 것은 분명하다. 자유의 영역이 한결 넓어졌다. 좋아하는 사람들의 지지를 받으며 내 삶을 내 선택으로 꾸린다는 주체적인 느낌도 나를 더 강하게 해주었다.

 

▲ 지금 내 방에 있는 옷장. 내가 직접 그린 그림과 내가 만든 작은 소품으로 꾸며져 있다.  ©라일락


‘여자아이의 방’을 벗어나 나답게 살 수 있는 방

 

최근에 <아티스트 웨이>(줄리아 카메론 저)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은 내 안에 있는 예술적인 창조성을 깨우기 위한 여러 방법을 제안하는데, 그중 인상 깊었던 한 가지는 어릴 적 나의 방과 지금의 나의 방을 비교하고 무엇이 다른지 생각해보는 활동이었다.

 

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다니던 시절 내 방의 모습을 떠올려 보았다. 핑크색 이불이 덮인 침대와 문제집과 참고서가 가득 꽂힌 흰색의 책장이 떠올랐다. 나는 사실 핑크색을 좋아하지 않고, 문제집보다는 판타지 소설과 역사책을 더 좋아했다. 옷장 안에는 어깨와 목이 늘 답답했던 교복과 무난한 검은색 옷들이 있었다. 다른 사람에게 튀어 보이지 않기 위해 교복을 입지 않을 때는 검은색 옷을 입었고, 나의 외모가 싫어서 친구들처럼 화장을 했다.

 

그러나 지금 내 방을 찬찬히 둘러보면, 내가 고른 따듯한 촉감의 이불이 깔린 침대와 부드러운 노란빛 조명이 방에서 은은하게 퍼진다. 내가 그린 그림이 그려져 있는 옷장에는, 몸을 죄지 않고 내가 원하는 촉감과 색의 옷으로 채워져 있다. 책장에는 나에게 영감을 주고 나를 즐겁게 해주는 책들로 가득하다. 그리고 내가 원하지 않기 때문에 더이상 화장을 하지 않는다.

 

어린 시절 나의 방은 지금 떠올려봐도 답답한 느낌과 함께 여자아이에게 요구되는 고정되어있는 딱딱한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지금의 나의 방은 내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이곳에서 나는 무엇이든 할 수 있고, 편안하게 쉴 수 있다. 한마디로 사람답게 사는 느낌이 든다.

 

▲ 집을 나왔을 때부터 지금까지 간직하고 있는 파란색 잠바. 그때의 추웠던 겨울을 떠올리게 한다.   ©라일락


18살에 집을 나와서 20대 중반이 된 지금까지 나는 7년째 독립생활을 하고 있다. 탈가정보다 독립이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나이가 되었다. 이제는 원하는 시간에 집을 드나들고, 원하는 사람을 초대해서 밥을 지어먹고, 편안하게 섹스하고, 누구도 나를 때리거나 통제하지 않는다. 지금의 자유가 당연하고 익숙해진 나머지, 청소년일 때 내가 어떤 삶을 살아냈는지 잊을 때가 많다.

 

헤아리지 않으면 쉽게 잊어버리고 마는 그때의 기억을 되새기고자 하는 이유는 여전히 많은 청소년에게 집은 자유를 앗아가는 공간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 사실을 기억하고, 그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공감하는 사람으로 남고 싶다. 청소년을 포함한 누구나, 자기답게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곳에서 숨을 쉬며 살아갔으면 좋겠다. <끝>

 

*편집자 주: 다양한 여성들의 시각으로 ‘주거’의 문제를 조명하는 <주거의 재구성> 기획 연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보도됩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 텔러 2020/05/31 [19:14] 수정 | 삭제
  • 경험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감 2020/05/31 [17:45] 수정 | 삭제
  • 아직도 자식은 부모의 소유물, 좋게말해 분신이라고 여겨지죠. 내 방은 어땠나 생각해봤는데 별거 없었음. 그래서 버텼나 봅니다..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