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1.03.04 [18:51]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전체기사
(
8137
건)
박스형
요약형
2시간 무급, ”최저”보다 낮은 임금…이주노동의 현주소
“타옥까에 코허(사장님은 거짓말해요)” 니몰 씨가 말했다. “거짓말인줄 알지만, 모든 노동자들이 그냥 일해요. 문제를 일으키고 싶지 않아요.”...
2021.03.04 18:25
우춘희
우리는 베를린을 위해서 ‘위안부’ 운동을 합니다
“지금, 여기서 당신에게 ‘위안부’는 무엇인가. 당신은 그녀들을 계속 기억할 것인가? 그렇다면 왜,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2021.03.03 17:49
하리타
베를린 ‘평화상’ 철거를 막은 건, 애국심 때문이 아니죠
우리가 독일 행정당국을 ‘도구화’했다는 거예요. 그 단어는 ‘위안부’ 제도를 비판할 때 ‘여성의 몸을 도구화했다’고 비판하며 쓰던 단어인데 얼마나 황당해요...
2021.03.02 16:26
하리타
일본군 ‘위안부’ 제도는 노예범죄에 해당한다
“무력충돌 동안 저질러진 성폭력 행위에 대한 소추가 터무니없을 정도로 드물”었다....
2021.03.01 11:56
장수희
법알못의 유레카! ‘위안부’ 관련 맥두걸 보고서 읽기
2020년을 마무리하면서 가장 보람 있었던 일을 꼽아 보면, 무엇보다 ‘위안부’ 문제에 관한 국제법 세미나에 참가했던 일이다....
2021.02.28 17:51
장수희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Led By Teenage Girls
The most extraordinary feature of the uprising of the Korean people is the part taken in it by the girls and women....
2021.02.28 12:19
Cho-Lee Yeoul
집밖 청소년…우리도 평안한 ‘집’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쉼터나 시설로 가지 않고 노숙이나 가출팸(탈가정 청소년들이 채팅 등을 통해 만나 모텔 등에서 집단생활을 하는 것) 등을 선택하는 청소년들도 많다....
2021.02.27 12:03
박주연
‘폐기물 1kg당 천원’ EU 플라스틱세를 소개합니다
유럽에서 최근 또 하나의 환경세가 탄생했습니다. 바로 ‘플라스틱세’(Plastic Tax)인데요, 유럽연합 차원에서 각 회원국에 부과하는 플라스틱세, 과연 판도를 바꿀 수 ...
2021.02.26 09:51
손어진, 하리타
항구도시 부산, ‘알공장’과 ‘노하우’라는 이름의 여성노동
밥을 퍼주면 기계 흘러가서 패킹을 하고 기계가 검사를 해주고 나면 라벨기로 흘러가가지고 기계서 올라오거든예....
2021.02.24 10:52
신민희
‘이루다’ 사태…젠더 관점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필요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또한 성평등한 사회를 지향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들로 채워져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2021.02.22 11:37
윤보라
여행기획자, ‘여행의 시대’에 안녕을 고하다
귀국하는 항공편이 취소되어 세계 곳곳의 경유지에서 발이 묶였다. 영화에서나 보던 일들이 매일매일 일어났다....
2021.02.21 10:52
허나윤
Construction Is Not Only Men’s Work
When it comes to the military and to tower cranes, people are surprised to see women in these positions since they don’t usually hear about that...
2021.02.19 21:49
Byun Jung-yoon
미국 유권자 운동을 통해 ‘투표권’의 의미를 새기다
당선된다면 최초의 흑인 여성 조지아 주지사가 되는 만큼 스테이시 에이브럼스의 출마는 화제였다....
2021.02.19 13:30
박주연
가해교사가 아직도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주변 교사가 개입해서 피해자를 도와주지 않거나, 가해교사가 ‘연애’였다고 말해버리면 학생들은 압박감을 느끼게 됩니다....
2021.02.18 16:35
이시다 이쿠코
너에겐 섹스에 관한 얘기가 쉽지만, 나에겐 그렇지 않아
재즈민 설리반의 새 음반은 미국 흑인 여성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담아냈고, 많은 이의 공감대를 불러 일으키며 상업적인 성과로 이어졌다....
2021.02.17 09:31
블럭
펜데믹 시기에 엄마가 된다는 것
최초 확진자 발생지역이 내가 사는 곳과 가까웠기 때문일까, TV를 볼 수 있게 되자 내내 나오는 ‘임산부 외출 자제‘라는 자막뉴스가 왜 그렇게 커보이던지....
2021.02.15 13:10
한여름
또 살처분 명령…우리 이렇게 계속 살아도 괜찮나요?
사는 것, 먹는 것, 사랑하는 것은 서로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 누구도 함부로 해하지 않으면서, 서로의 생존과 존엄을 지켜가면서 함께 살아갈 수는 없을까?...
2021.02.14 10:53
안지혜
“Women Who Fight in Universities” Won’t Disappear
The continuing abolitions of women’s student councils couldn’t help but injure the feminists within the university. Nevertheless, they didn’t give up....
2021.02.12 20:33
Park Ju-yeon
그들만의 정치, ‘가부장 정치’와 결별할 때입니다
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위력 성폭력 사건이 일어난 직후 만들어졌어요. 여성정치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는 사람들이 네트워킹할 그룹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2021.02.12 15:55
박주연
임금 안 주고 협박 “너 불법 만들어 버린다”
현장에서 만난 농장주들은 종종 이렇게 말한다. “쟤들(이주노동자)은 무조건 복종이다 복종. 사장 말 안 들으면, 우리가 내쫓아서 쟤네 불법 만들어버리면 된다.”...
2021.02.10 11:12
우춘희
더보기 (8,117)
1
2
3
4
5
6
7
8
9
10
407
많이 본 기사
1
‘이루다’ 사태…젠더 관점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필요해
2
일본군 ‘위안부’ 제도는 노예범죄에 해당한다
3
‘폐기물 1kg당 천원’ EU 플라스틱세를 소개합니다
4
베를린 ‘평화상’ 철거를 막은 건, 애국심 때문이 아니죠
5
법알못의 유레카! ‘위안부’ 관련 맥두걸 보고서 읽기
6
우리는 베를린을 위해서 ‘위안부’ 운동을 합니다
7
집밖 청소년…우리도 평안한 ‘집’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8
여행기획자, ‘여행의 시대’에 안녕을 고하다
9
항구도시 부산, ‘알공장’과 ‘노하우’라는 이름의 여성노동
10
‘자리를 빼앗긴’ 사람들이 만드는 페미니즘
최신기사
2시간 무급, ”최저”보다 낮은 임금…이주노동의 현주소
우리는 베를린을 위해서 ‘위안부’ 운동을 합니다
베를린 ‘평화상’ 철거를 막은 건, 애국심 때문이 아니죠
일본군 ‘위안부’ 제도는 노예범죄에 해당한다
법알못의 유레카! ‘위안부’ 관련 맥두걸 보고서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