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2.08.09 [18:58]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사회
[새해 복 많이 받으시겠습니까?]
양극화의 그늘을 돌아봐야
박희정
|
기사입력 2008/01/01 [02:59]
사회
[새해 복 많이 받으시겠습니까?]
양극화의 그늘을 돌아봐야
박희정
|
입력 : 2008/01/01 [02:59]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일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희정
의 다른기사보기
댓글
전체댓글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작성 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주세요.
닉네임
비밀번호
도배방지 입력
사회보장
관련기사목록
‘가족’ 중심의 복지는 평등하지 않다
진정한 카네이션은 “생활연금”입니다
장기실업과 빈곤의 현실적 대안 ‘기본소득’
정보를 아는 자만이 혜택받는 복지정책?
‘낙인’과 ‘혜택’의 딜레마에 선 사람들
어떤 상황 처해도 ‘인간답게 살수 있도록’
빈곤은 남의 일? 누구나 처할 수 있어
‘부양의무자 기준’, 빈곤은 가족 책임?
[청와대의 크리스마스는]
[추위닥친 서민들, 대책 기대했더니]
[돈 잔치 vs. 빚 잔치]
[50억 vs. 2억]
여유가 없는 삶, 불안한 여성들
[비정규직이 된다는 건]
‘성장’과 ‘일자리 창출’이 능사 아니다
[건강도 돈으로?]
[취약계층이 졸속행정 뒷감당하나]
복지제도 ‘남성생계부양자’ 모델 깨야
왜 ‘1인 1연금’인가
많이 본 기사
1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며 겪은 세 번의 성폭력
2
‘여성가족부 폐지’에 맞서는 유쾌한 페미니스트들
3
누구나 돌봄이 가능하다고 우기는 법
4
낙관하자, 희망이 있어서가 아니라 ‘살아야 하니까’
5
성인이 될 때까지 ‘자폐’ 진단을 받지 못한 나의 삶
6
‘마을활동 예술가’로 생존하는 법
7
콜롬비아, 광산노동자 출신의 흑인 여성 부통령 탄생!
8
‘엄마’의 우울증과 모성 이데올로기
9
과대 생산의 사회, 이삭 줍는 사람들
10
I take final photograghs with my “Korean Umma”
사회
많이 본 기사
1
‘여성가족부 폐지’에 맞서는 유쾌한 페미니스트들
2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며 겪은 세 번의 성폭력
3
‘엄마’의 우울증과 모성 이데올로기
4
무고로 기소된 성폭력 피해자와 ‘함께’한 시간
5
박유천 성폭력 사건 피해자가 쏘아올린 작은 공
최신기사
‘털 난 물고기’의 무지갯빛 춤, 반짝이는 글
콜롬비아, 광산노동자 출신의 흑인 여성 부통령 탄생!
‘마을활동 예술가’로 생존하는 법
‘여성가족부 폐지’에 맞서는 유쾌한 페미니스트들
I take final photograghs with my “Korean Um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