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 혈연, 입양 관계만 ‘가족’으로 정의한 건강가정기본법 제3조 1항을 삭제하라고 요구하는 시민들이 10월 25일 국회 앞에 모였습니다. 한국여성민우회 등 25개 단체가 주최한 시민 발언대 “우리의 연결될 권리를 보장하라”에서 나온 다양한 목소리를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
가족 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이미 이뤄졌다
여성가족부는 2021년 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을 발표하며 “법률혼·혈연 중심으로 규정된 가족 관련법의 가족 정의 규정을 개정하고, 가족 유형에 따른 차별금지와 예방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 기본계획의 정책 추진 방향은 바로, “가족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정권이 바뀌자 여성가족부는 다양성도, 포용도 없는 가족 정책 입장을 내놓고 있습니다. 지난 발표를 뒤엎고, “법적 가족 개념 정의에 대한 소모적 논쟁”을 하고 싶지 않다고 합니다. “법률을 개정하는 데 있어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합니다. 정치권은 차별의 목소리에 힘을 실을 때만 ‘사회적 합의’를 들먹이고, 불평등 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에는 ‘논쟁’ 딱지를 붙입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1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동거나 사실혼 상태의 남녀 10명 중 3명꼴로 ‘정부 지원에서 차별을 경험했다’고 답했습니다.
법률혼·혈연 중심으로 규정한 협소한 가족 개념으로 인한 차별은 이미 오래 전인 2014년 국가인권위원회 조사에서도 밝혀진 바 있습니다. 〈성적지향・성별정체성에 따른 차별 실태조사〉에 따르면, 동성애자와 양성애자 응답자 중 17%가 ‘파트너십 제도의 공백으로 차별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습니다.
여성가족부 장관은 건강가정기본법에 제기된 여러 비판을 묵살하며 “(그럼에도) 실질적 지원이 가능하게” 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정책은 법률을 근거로 기획되고, 집행됩니다. 법률에서 ‘정상 가족’이 이성애중심-혈연 가족이 아닌 관계를 가족이라고 인정하지 않는데, 이들이 어떻게 주거, 의료, 재산, 분할 등에서 “실질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 국가가 어떤 삶을 보호하고, 어떤 삶은 보호하지 않을 것인지를 규정하고 있는데, 어떻게 위탁가족이, 한부모가족이, 사실혼 가족이, 성소수자 가족이, 비혼여성이 사회적 편견으로부터 자유롭겠습니까?
여성가족부의 입장 변화는 여가부를 폐지하고 ‘인구가족양성평등본부’를 만들겠다던 윤석열 정부의 인식과 맞닿아 있습니다. 결혼하지 않는 삶, 출산하지 않는 삶을 사는 이들을 ‘문제적 집단’으로 취급하고, 사회안전망으로부터 밀어버리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자유롭고 평등한 삶을 요구하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지우고, 국가가 구성한 이성애-정상 가족의 영역으로 여성의 몸을 묶어두겠다는 의지로 보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건강가정기본법을 개정하지 않겠다는 여가부의 입장은 ‘현행 유지’가 아니라 ‘퇴행’입니다. 차별이 일어나는 영역을 발굴하고 성평등 정책을 기획하고 집행할 책임이 있는 정부 부처가 우리 사회가 이미 합의한 ‘평등’과 ‘다양성’의 가치를 외면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기후위기, 코로나19 등으로 이미 여러 차례 위기를 맞았습니다. 이제는 새로운 관계와 구성원들의 현재 삶에 맞는 사회 시스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정치권은 더 이상 전통적인 가족 개념으로는 실재하는 다양한 관계를 설명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서로를 아끼고 돌보며 살아가는 이들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삶을 꾸려 나갈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고 사회안전망을 만들어야 합니다.
윤석열 정부와 여성가족부는 들으십시오. ‘과거로의 퇴행이 아닌, 시민들의 변화하는 삶에 맞춘 비전을 제시하라. 여성들은 임신, 출산, 양육의 도구가 아니다. 차별을 걷고, 성평등을 제시하라.’
[필자 소개] 이효진: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활동가입니다.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1999년 여성정치세력민주연대(약칭: 여세연)이라는 이름으로 창립된 단체이며, 여성의 정치세력화, 여성대표성 확대, 성평등 정치를 위한 법·제도·정책 대안 모색과 입법 활동, 조사·연구 활동, 교육 활동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 좋아요 8
<저작권자 ⓒ 일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우리의 연결될 권리를 보장하라 관련기사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