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떠나지 않고 남은 이주노동자들이 만든 사회
떠나지 않고 남은 이주노동자들이 만든 사회이민자 국가로서의 독일의 이야기는 손님 노동자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이들의 서사가 ‘손님‘으로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다. ...
-
‘당신에게 페미니즘 책을 추천해드려요’
‘당신에게 페미니즘 책을 추천해드려요’“저를 포함해 페미니스트들 역시 실패를 하기 마련이기 때문에, 페미니즘의 역사를 배우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
아픈 사람 이야기, 어디서 접하고 있나요?
아픈 사람 이야기, 어디서 접하고 있나요?“브이로거들이 건강한 몸으로는 결코 알 수 없는, 아픈 몸의 경험에서만 배울 수 있는 삶을 성찰하고, 그것을 영상에 담아 보여준다” ...
-
“尹정부 고용평등 포기선언” 민간 고용평등상담실 폐지에 분노
“尹정부 고용평등 포기선언” 민간 고용평등상담실 폐지에 분노공적 시스템이 외면하거나, 공적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는 노동자들이 분명 존재하는 상황에서 민간 상담실을 없애는 건, 사각지대에 놓인 노동자들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겠다는 것 ...
-
우리가 화장실 이야기를 더 많이 해야 하는 이유
우리가 화장실 이야기를 더 많이 해야 하는 이유학습지 방문 노동자였던 나의 어머니는 화장실로 인한 불편함을 겪고 싶지 않아, 일할 땐 물을 거의 마시지 않는다고 했다. 그게 버릇이 되어 신장에 문제가 생겼다. ...
-
환대가 있는 장소, 빛바래지 않는 여행의 기억
환대가 있는 장소, 빛바래지 않는 여행의 기억20여 년 전에는 해외여행을 갈 때 ‘한국적인 선물’을 챙겨가라는 팁이 있었다. 인삼 껌이라도 챙겨 가는 게 예의라는 분위기였다. ...
-
“방광염은 직업병” 일터 화장실을 조명하라
“방광염은 직업병” 일터 화장실을 조명하라‘화장실에 의해 건강 문제를 겪고 있다’는 비율이 48.3%, ‘화장실과 관련한 심리적 문제(우울, 불안, 자존감 저하 등)가 발생한다’는 비율이 58.9%나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