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5.01.17 [14:48]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평범한” 여성들의 지역자치 운동
이 기사 독자의견
기사본문으로 돌아가기
nu
2005/09/01 [16:09]
좋은 활동 기대합니다
'전과 물려주기' 제가 초등학교 고학년에 다닐적에 했었지요. ^^
생활환경의 차이로 인해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해도,
앞으로는 서구 이외의 다른 구에서도 활발한 움직임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많이 본 기사
1
어떻게 하면 잘 아프고, 잘 쉬고, 또 일할 수 있을까?
2
도쿄고등법원 ‘동성혼 인정’ 5가지 핵심 근거
3
전쟁에서 일어난 일을 어떻게 기록하고 애도할 것인가?
4
암 진단받았을 때만 해도 직장을 잃을 줄 몰랐다
5
우리가 함께 만든 광장, 배제하지 않고 연결되어
6
가난한 나라 여성 노동력을 ‘가정에 투입’하는 국가
7
해일 앞에서, 우리는 용감한 우정을 나눌 것이다
8
당사자 자조모임과 ‘동료’가 왜 중요하냐고요?
9
‘남태령 대첩’ 이후, 여성과 소수자가 열어갈 세상
10
내 쓰레기통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것은
사회
많이 본 기사
1
‘한국 시민사회와 연결되고 싶어’ 찾아온 일본 청년여성들
2
전쟁에서 일어난 일을 어떻게 기록하고 애도할 것인가?
3
우리가 함께 만든 광장, 배제하지 않고 연결되어
4
‘남태령 대첩’ 이후, 여성과 소수자가 열어갈 세상
5
성적 권리로서 ‘동의’를 말한다
최신기사
‘한국 시민사회와 연결되고 싶어’ 찾아온 일본 청년여성들
가난한 나라 여성 노동력을 ‘가정에 투입’하는 국가
Couldn’t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be expanded to include care work?
도쿄고등법원 ‘동성혼 인정’ 5가지 핵심 근거
전쟁에서 일어난 일을 어떻게 기록하고 애도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