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5.01.20 [19:41]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독일의 ‘이주여성’ 위치에서 난민을 공부하다
이 기사 독자의견
기사본문으로 돌아가기
예니
2019/01/10 [09:01]
하리타님 덕분에 한국에서 유럽의 난민 공부를 할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것들을 많이 알게 되었고 난민 당사자 운동가들의 용맹스러운 모습을 보게 된 것도 난민을 대상화하지 않게 되는데 도움이 되었어요.
독자
2019/01/10 [19:01]
저도 공부 많이 했습니다. 이전 기사들도 다시 찾아읽어 보았네요.
kjh
2019/01/23 [16:01]
멋져요 행동하는 지성을 보네요!
많이 본 기사
1
어떻게 하면 잘 아프고, 잘 쉬고, 또 일할 수 있을까?
2
도쿄고등법원 ‘동성혼 인정’ 5가지 핵심 근거
3
가난한 나라 여성 노동력을 ‘가정에 투입’하는 국가
4
전쟁에서 일어난 일을 어떻게 기록하고 애도할 것인가?
5
‘한국 시민사회와 연결되고 싶어’ 찾아온 일본 청년여성들
6
‘안부만 나눠도 힘이 돼’ HIV/AIDS 감염인의 서로돌봄
7
암 진단받았을 때만 해도 직장을 잃을 줄 몰랐다
8
우리가 함께 만든 광장, 배제하지 않고 연결되어
9
당사자 자조모임과 ‘동료’가 왜 중요하냐고요?
10
해일 앞에서, 우리는 용감한 우정을 나눌 것이다
국경너머
많이 본 기사
1
가난한 나라 여성 노동력을 ‘가정에 투입’하는 국가
2
여성의 몸을 ‘모체’로 보는 법, 이상하지 않나요?
최신기사
작가의 ‘시간’, 구석진 ‘공간’, 노동자의 ‘얼굴’
‘안부만 나눠도 힘이 돼’ HIV/AIDS 감염인의 서로돌봄
‘한국 시민사회와 연결되고 싶어’ 찾아온 일본 청년여성들
가난한 나라 여성 노동력을 ‘가정에 투입’하는 국가
Couldn’t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be expanded to include care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