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3.11.30 [16:09]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국경너머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이 기자회견에서 메르켈은 2015년 세계 언론을 장식하게 될 문장을 이야기한다. “독일은 강한 국가입니다. 우리는 많은 것을 해냈습니다. 그리고 해낼 ...
김인건
| 2023.11.30 16:01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나치 때 박해를 받았던 독일인들이 다른 나라에서 보장된 망명의 권리 덕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것이 근거가 되어, 망명의 권리는 단서 조항 없이 기 ...
김인건
| 2023.11.29 11:54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
“젊어 보이고 싶다”, “이제 나이 먹어 힘들어”, “그 나이에 대단하시네요!” 등, 누구든 생각하거나 말한 경험이 있지 않을까? ...
구리하라 준코
| 2023.11.25 22:12
“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 독일판 깻잎 투쟁기
계절노동자 중 일부는 “우리는 노예처럼 일했다.”, “그들은 우리의 여권을 빼앗고, 일을 제대로 안 한다고 총과 칼로 위협을 하기도 했다.”, “다시 ...
손어진
| 2023.11.22 10:48
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 그런데 ‘제한’이 많다고?
임신중지 방식으로 일본 사회에서는 소파수술이 주를 이루는데, 여성들은 오랫동안 몸에 부담이 적은 ‘먹는 임신중지약’의 조기승인을 요구해왔다. ...
츠카하라 쿠미
| 2023.11.19 19:13
보트피플(서독)과 손님노동자(동독)로 온 베트남 이주민
이들은 ‘독일에 사는 베트남 사람들은 보이지 않고, 조용해 이민자들의 모델이 된다’, ‘영원히 열심히 일하는 영리한 아시아인’이라는 진부한 편견 ...
손어진
| 2023.11.12 10:05
쫓아내려는 국가, 남으려는 사람들, 그리고 아이들
이주노동자의 삶이 선주민의 삶과 가까워지자, 이들을 혐오하는 극우의 목소리가 사회에서 점점 힘을 얻었다. ...
김인건
| 2023.11.01 15:43
저임금과 차별대우에 ‘파업’으로 맞선 이주여성노동자들
회사의 예상과 다르게, 여성 이주노동자들은 시위의 동력을 잃지 않았다. 점차 독일인 남성 숙련공들도 시위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
김인건
| 2023.10.25 17:10
‘한국에 돌아가지 않겠다’ 독일 정부와 맞선 한인 간호사들
"우리는 독일 병원이 필요로 했기 때문에 이곳에 왔다. 하지만 우리는 상품처럼 이리저리 보내지기를 원하지 않는다." ...
김인건
| 2023.10.18 10:24
떠나지 않고 남은 이주노동자들이 만든 사회
이민자 국가로서의 독일의 이야기는 손님 노동자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이들의 서사가 ‘손님‘으로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다. ...
김인건
| 2023.10.02 10:46
1
2
3
4
5
6
7
8
9
10
82
많이 본 기사
1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
2
“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 독일판 깻잎 투쟁기
3
생계와 가치,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
4
당신을 발견해주는 친구
5
“다들 자기만의 어려움이 있잖아요? 서로에게 친절해져요”
6
어느 홈리스 여성이 남긴 기록, ‘쓸모 없어 빛나는’ 세계
7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8
‘너 뭘 하고 싶어?’ 저 자신한테 계속 묻는 것 같아요
9
“이런 게 되는 곳은 여기밖에 없으니까 놀자, 놀자, 놀자!”
10
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 그런데 ‘제한’이 많다고?
국경너머
많이 본 기사
1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2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3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
4
“독일 아스파라거스는 착취의 맛” 독일판 깻잎 투쟁기
5
먹는 임신중지약 승인한 日, 그런데 ‘제한’이 많다고?
최신기사
국경을 열고 “우리는 할 수 있다”…독일은 지금
난민을 환대하던 독일의 목소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The Victim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Raised Her Banner: “I Didn’t Back Down”
생계와 가치, 두 개의 노동 사이에서
이혼의 공포도, 나이듦의 공포도 ‘오류’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