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3.01.29 [19:54]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사회
노동
녹색정치
국경너머
소수자 시선
문화
일다의 방
English Article
일반
평화
성차별
성폭력
성매매
정치/정책
가족/관계
의료/과학
이주
아시아
세계
퀴어
장애
십대
영화
책/문학
음악
여행
만화/애니
공연/전시
매체비평
인터뷰
창작
몸 이야기
전체기사
(
8683
건)
박스형
요약형
같이 살고 돌보는데, 우리가 남남이라고?
같은 집이나 같은 건물 혹은 같은 마을에서 서로 돌보고 살 수 있으려면, 개인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법과 제도의 보호가 필요한데, 사회에서는 우리를 남남 취급합니다...
2023.01.29 19:31
홍주은
‘성평등한 대학’이라는 환상 속에 은폐되는 성폭력
인하대학교 성폭력 사망사건에서 드러난 대학 사회의 문제점을 더 면밀히 바라보고 더 깊게 이야기 나눌 수 있는 공간을 간절하게 바랐다...
2023.01.28 08:59
송소영
우리가 왜 부부가 아니란 말입니까?
함께 살며 서로를 보살피는 내 가족을 “내 가족”이라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앞으로도 당당하게 말하겠습니다. 한국의 정치는 어서 따라오십니다....
2023.01.26 16:36
소성욱
‘콜센터 그언니’ 잊지 못할 일 년이었다
상담사들이 요구한 것은 하나였다. ‘이 고장에서 일할 수 있게만 해달라’는 것. ‘그렇게 하겠다’던 회사는 3년이 지나자 말을 바꿨다....
2023.01.25 10:06
정윤영
섭식장애 가진 사람과 식사를 함께한 적 있나요?
나는 섭식장애와 여성의 몸을, 그 지긋지긋한 곳을, 결코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곳이 내가 살고 있는 곳이고, 나를 살린 곳이기 때문이다....
2023.01.23 21:01
민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함께’ 연극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
장애를 가지고 비장애 중심 사회를 살아간다는 자체가, 계속 ‘나도 여기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키는 일인 것 같아요. 이 과정이 그냥 제 삶이에요....
2023.01.22 12:44
박주연
연극으로 만난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어수선한’ 연결
배우에게 그런 기회가 주어지면, 연기력을 뽐내기 위해 유명한 희곡의 독백 같은 걸 하거든요. 근데 극단 애인에선 자신의 생애를 이야기했다는 거....
2023.01.21 19:37
박주연
위로금 준다는데 콜센터 상담원이 왜 안 나가고 버티냐고?
‘어떤 직업은 그렇게까지 버틸 이유가 없다’고 말하는 세상을 향해 자신들의 존엄을 증명하기 위해 싸운다....
2023.01.20 19:26
희정
The Cold Reality of Standing on One’s Own
So it was that when she came to live at Yeollimteo, what she wanted most was help developing the strength to stand on her own....
2023.01.19 18:55
Jo Hwa
‘진달래꽃’의 화자는 정말 여성일까?
‘여성적 어조’라는 문학 용어와 함께 오랜 세월 시 ⌜진달래꽃⌟을 해석하는 데에 절대적인 기준처럼 여겨졌다. 그러나 우리는 시를 다시 한번 꼼꼼하게 읽어볼 필...
2023.01.18 09:18
김시옷
아직도 자주 몸무게를 잰다
모두가 ‘먹는 행위’를 기형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째서일까. 인류의 식이생활이 균형점을 잃은 것처럼 느껴진다고 하면 너무나 큰 과장일까?...
2023.01.16 19:33
백은선
팬데믹 속에서 ‘사회적 가족’ 인정 필요성 커졌다
함께 살기의 방식이 달라지고 있고, 현실의 요구가 이미 폭발하고 있는 지금, 구태에 사로잡혀 실제 시민의 삶을 보호하지 못하는 소모적 논쟁을 이제는 끝내야 합니다...
2023.01.15 15:31
권수정
장애를 가진 여성이 겪는 ‘복합차별’을 말하다
“마흔에 제가 임신했을 때, 어머니와 의사가 함께 임신중단을 권했어요. 의사는 장애아를 낳을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어머니는 제가 장애가 있는데 육아를 할 수 ...
2023.01.14 13:29
가시와라 토키코
우리에겐 더 많은 무지개집이 필요하다
무지개집은 “대문을 열고 들어서자마자 신발을 벗어야 하는” 구조다. 5층에 사는 사람도 1층 현관에서 신발을 벗고 올라간다는 거다....
2023.01.12 20:49
박주연
섭식장애와 함께한 15년
섭식장애는 정상성을 거부하는 강력한 반동행위이기도 하다. 섭식장애 환자는 모두가 당연하다고 여기는-먹고, 마시고, 배설하는- 것을 하지 않는다...
2023.01.11 09:29
박채영
The Unjust Market: Meeting with People Working at Subcontracting Companies
The words of an employee of a subcontracting business: “Ms. OO, we’re in a difficult situation these days, too”...
2023.01.10 22:50
Sumin
가족의 정의는 동사가 되어야 한다
가족의 정의는 동사가 되어야 합니다. 함께 살고, 함께 돌보고, 함께 부양하고, 함께 양육하기로 하고, 실제로 함께 양육하고 있는 사람들의 관계를 보호하기 위해서 정...
2023.01.09 17:23
나영정
‘마음의 통역자들’이 펼치는 이 멋진 세계!
〈마음의 통역자들〉을 통해 알게 되는 수어의 세계는 놀라움의 연속이다. 우선, 배우와 같은 의상을 입고 무대에 서서 배우처럼 몸으로 표현하는 통역사들의 모습에...
2023.01.08 15:54
나카무라 토미코
아무것도 후회하지 않는 삶이 가능하다면
〈파니 핑크〉의 원제는 “아무도 날 사랑하지 않아”(Keiner Liebt Mich)다. 아무에게도 사랑받지 못하는 파니는 끝내 사랑하고 사랑받을 수 있을까?...
2023.01.07 09:38
신승은
기후위기 해법 “우리가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것”
“최근에는 귀농한 사람들 중에서 소규모로 농사짓는 분들이 많이 가입해요. 다른 판로를 찾기 어려운데, 여기서 팔 수 있으니까요.”...
2023.01.05 18:58
나랑
더보기 (8,663)
1
2
3
4
5
6
7
8
9
10
435
많이 본 기사
1
위로금 준다는데 콜센터 상담원이 왜 안 나가고 버티냐고?
2
‘콜센터 그언니’ 잊지 못할 일 년이었다
3
섭식장애 가진 사람과 식사를 함께한 적 있나요?
4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함께’ 연극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
5
‘성평등한 대학’이라는 환상 속에 은폐되는 성폭력
6
연극으로 만난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어수선한’ 연결
7
우리가 왜 부부가 아니란 말입니까?
8
‘진달래꽃’의 화자는 정말 여성일까?
9
아직도 자주 몸무게를 잰다
10
팬데믹 속에서 ‘사회적 가족’ 인정 필요성 커졌다
최신기사
같이 살고 돌보는데, 우리가 남남이라고?
‘성평등한 대학’이라는 환상 속에 은폐되는 성폭력
우리가 왜 부부가 아니란 말입니까?
‘콜센터 그언니’ 잊지 못할 일 년이었다
섭식장애 가진 사람과 식사를 함께한 적 있나요?